SK이노베이션이 화학업계에서는 처음으로 ICT(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융합을 통한 스마트 플랜트를 도입했다.
SK이노베이션은 SK울산CLX에 스마트 플랜트 구축을 위한 파일럿 설비를 도입하고 1년간 운영해왔다고 15일 밝혔다. SK이노베이션은 SK 울산 CLX 전 공정과 SK이노베이션 사업장 전체에 이를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화학산업은 장치산업으로 대부분 공정 자동화를 의미하는 스마트 팩토리는 구현돼 있지만 여기에서 스마트 플랜트는 한 단계 더 진화한 것”이라며 “지난해 초 스마트 플랜트 구축을 위한 테스크포스를 신설했다”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은 스마트 플랜트 도입의 최우선 과제로 생산 효율성을 더욱 높이고 공정 안정성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것으로 삼았다. 기존 인력을 대체하기보다는 첨단 ICT기술을 융합해 인간의 오차를 줄이고 조기 위험감지와 이상 징후 발견을 통한 공정운전 안정성 제고에 방점을 두고 진행 했다.
이를 위해 우선 SHE(Safety·Health·Environment: 안전·보건·환경) 분야의 ‘유해가스 실시간 감지’, 공정안정운전 분야의 ‘회전기계 위험예지’, ‘스마트 공정운전 프로그램’, 일하는 방식의 혁신 분야에서 ‘스마트 워크 퍼밋(Smart Work Permit)’ 등 4개 과제를 선정하고 1년여간 테스트를 거친 뒤 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보했다.
공정국 SK이노베이션 릴라이어빌리티(Reliability) 실장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는 힘들지만 뒤쳐지면 걷잡을 수 없는 분야”라며 “현재의 조그만 차이가 향후 기업가치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에너지·화학업계 내 스마트 플랜트를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성호기자 junpar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