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 인상이 가속화하면서 금융소비자들도 당장 빚테크와 재테크 전략을 발 빠르게 수정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14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3개월 만에 0.25%포인트 인상하고 하반기에도 한 차례 더 올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국내 부동산과 대출도 영향권 안에 들어왔다.
금리 인상기에는 재테크보다 우선 빚테크에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다. 대출을 써야 할 수요자들이 금리 인상 때문에 대출 수요를 줄일 수 없으니 관건은 고정이냐 변동금리냐의 선택이다. 전문가들은 3년 이내에 상환 계획이 있다면 변동, 현실적으로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단기 상환이 어렵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면 5년 고정 이후 변동 금리를 추천한다. 우리은행의 경우 이날 기준 아파트 주택담보대출 6개월 변동 금리는 최저 3.37~4.16%다. 5년 고정 이후 변동 상품은 최저 3.61~4.6%로 6개월 변동보다 소폭 금리가 높지만 예측 가능성과 향후 금리 인상 등을 고려할 때 5년 고정 이후 변동 상품이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또 보금자리론·적격대출·디딤돌대출 등 정책금융상품이 일단 대출보다 0.2%포인트 정도 금리가 낮기 때문에 대상이 되는지 등을 먼저 체크해볼 필요가 있다. 조현수 우리은행 자산관리(WM) 팀장은 “대출을 3년 이상 쓸 경우 5년 고정 이후 변동으로 가는 것을 권한다”면서 “20년 이상 장기 대출자는 적격대출을 알아보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달러 자산에 대한 투자자들의 문의가 쏟아졌다. 재테크 수단이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금리 인상과 연동돼 ‘강(强)달러’에 베팅하는 재테크 전략에 대한 관심이 높다. 최근에는 달러 예금보다는 달러 ELT 상품이 인기를 보이며 은행들도 상품 라인업을 다양화하고 있다. 이 상품은 달러로 표시된 ELS(기초자산 S&P500과 유로스톡스 지수)에 투자한다. 수익률(연 3.5~3.6%)이 원화 ELT(3~3.37%)보다 높은데다 달러가 강세를 띠면 환차익도 기대할 수 있어서다. 은행 관계자는 “현금 자산 여유가 있는 경우 전체 자산의 20~30%를 외화자금으로 운영하는 것을 추천한다”면서 “환차익의 경우 비과세이기 때문에 금리 인상기와 환율 상승기에는 달러 관련 투자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도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이에 더해 정부가 부동산 시장 과열을 잡기 위해 금융규제인 총부채상환비율(DTI)과 주택담보인정비율(LTV) 환원 카드마저 만지작거리면서 금융소비자들의 셈법도 복잡해졌다. 최근 안정세를 보이던 시중은행들의 주담대 금리가 우상향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빚내서 집을 사는 사람들에게는 이자 부담이 확대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신규로 분양받는 경우 집단대출 금리도 함께 올라갈 것으로 전망된다.
허윤경 주택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 4월 기준 한국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신규 취급액 금리가 3.21%였는데 3%대 중반까지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대형 건설사들이 분양한 아파트의 집단대출 금리도 3%대 후반이고 4%대 초반까지 나오고 있는데 더 올라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허 연구위원은 “부동산 시장이 미국 금리 인상의 영향을 전반적으로 받을 수밖에 없으며 속도의 문제가 될 것”이라면서 “다만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금리를 올리지는 않을 것으로 보는 관측이 지배적이기 때문에 금리가 빠르게 상승하지는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주담대 금리가 오르면 최근 성행하고 있는 ‘갭(gap) 투자’의 위험성이 한층 더 커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했다.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금 비율)이 높은 주택을 전세를 끼고 산 뒤 시세차익을 노리는 갭 투자는 집값이 하락하면 큰 타격을 입게 된다. 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이자 부담으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된다면 집값이 전셋값보다 더 낮아지는 이른바 ‘깡통전세’가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수익형 부동산의 경우도 대출을 받아 투자하려는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뜩이나 임대수익률이 떨어지는 추세인데다 공실률이 높고 권리금이 사라지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까지 높아지면 이자 부담이 늘어나 수익률이 더 하락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김규정 NH투자증권 부동산전문위원은 “수익형 부동산의 경우 하반기 담보대출 규제 강화까지 예정돼 있는데다 단기 투자를 염두에 두는 경우에는 특히 상가 점포 투자는 자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노희영·김보리기자 nevermind@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