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창현 서울시립대 교수(전 금융연구원장)는 “(사드 보복은) 기후변화가 아니라 기상악화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기업에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학습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된 것”이라며 “일시적으로 소나기가 내릴 때는 그동안 쌓아놓은 것을 갖고 버티면서 다른 시장을 개척하는 등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중국의 사드 보복이 실상은 자국 기업과 경쟁 관계에 있는 우리 기업을 내쫓으려는 의도가 숨어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전광우 전 금융위원장은 “사드를 핑계로 중국과 경쟁 관계에 있는 한국 기업을 압박하는 것도 있다”며 “투자 시장 다변화 모색 등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는 노력이 중국이 더 호의적으로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주훈 한국개발연구원(KDI) 수석이코노미스트도 “사드 갈등 이전에 중국과 한국은 이미 경제적으로 서로 갈 길을 가야 하는 경쟁적 관계가 됐다”며 “인도 등을 활용한 수출 다변화가 최선”이라고 말했다.
기업이 경쟁력 강화라는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유병규 산업연구원장은 “감정적 대응은 오히려 사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며 “제품과 서비스 경쟁력을 높여 중국이 필요로 하는 걸 공급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우리 기업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내수가 탄탄하지 않다는 우려도 나왔다. 경제관료 출신의 한 경제전문가는 “경제적으로 중국 무역 의존도 낮추고 내수를 더 키워야 하는데 가계부채 때문에 쉽지가 않다”고 우려했다.
/세종=김상훈기자 ksh25th@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