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화가 조희룡(1789~1866)은 유독 매화 그림을 많이 남겼다. 시와 글씨·그림 모두에 재주가 많았던 그는 유독 매화에 집착했다.
그가 쓴 ‘석우망년록’에 “내게는 매화를 지나치게 좋아하는 버릇이 있어 잘 때는 내가 직접 그린 병풍을 치고 자고, 매화 이름이 들어간 먹을 골라 쓰고 매화 시가 새겨진 벼루를 쓴다”고 적었을 정도다. 조희룡이 바라보다 잠들었던 바로 그 매화 병풍이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이 그림이다.
붉은 꽃과 흰 꽃을 피워올린 매화 줄기가 용이 솟구치듯 구불거린다. 좌우로 뻗은 긴 가지에서 꽃송이가 만발해 매화 그림으로는 최고의 걸작 중 하나로 꼽힌다. 그전까지는 먹으로 그린 ‘묵매’가 많았지만 조선 후기에는 이처럼 청대 화풍의 영향을 받은 화려한 색채의 홍백매가 많이 제작됐다. 사진에는 보이지 않지만 병풍 끝에 적힌 글에서 조희룡은 화려한 매화를 가리켜 ‘은하수에서 쏟아 내린 별 무늬’와도 같고 ‘오색 빛깔 나부산(羅浮山)의 나비를 풀어놓은 것 같다’고 비유했다.
최근 출간된 ‘우봉 조희룡’(이선옥 지음, 돌베개 펴냄)은 ‘매화 화가’로 불린 조희룡의 생애와 예술을 소개했다. 부제가 ‘19세기 묵장의 영수’이다. 조선 시대 서화가 인명사전 ‘근역서화징’을 쓴 오세창은 조희룡을 먹을 다루는 세계의 우두머리라 하여 ‘묵장의 영수’라 칭했다.
/조상인기자 ccsi@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