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이슈부터 미국의 통상 압박, 중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보복 등 국내외 위기 요인이 동시다발적으로 쏟아지는 상황에서 외환보유액의 오름세가 꺾였다.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협상이 여전히 오리무중이고 북핵 등의 변수가 워낙 커 2중·3중의 외환 안전판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3,800억 달러 수준인 외환보유액을 비상 상황에 대비해 더 늘려야 한다는 조언을 하고 있다.★본지 10월11일자 3면 참조
1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말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3,846억7,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전달 대비 1억7,000만달러 줄었다. 지난 2월 이후 첫 감소다. 한은은 “지난달 미국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면서 유로화와 엔화 등으로 표시된 외화자산의 달러화 환산액이 줄어든 탓”이라며 “줄어든 1억7,000만달러 규모는 환율 변동에 따라 하루에도 오갈 만큼의 수준으로 의미를 둘 필요가 없고 이달 외환보유액도 역대 두 번째 규모”라고 설명했다. 우려할 필요가 없다는 얘기다. 고형권 기재부 1차관도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1997년 IMF 외환위기 당시와 비교해볼 때 경상수지 상황과 대외 건전성, 기업 재무구조 면에서 긍정적이라 경제 위기가 올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한은과 정부의 입장과는 달리 일부 경제전문가들은 그래도 만약의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북미 간 대립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가 여전한 상황에서 사드 배치에 따른 한중 간 갈등, 미국의 통상 압박까지 얽히고설키면서 외환보유액을 늘릴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윤창현 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교수는 “외환보유액은 항상 다다익선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면 충분하다고 말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지정학적 리스크 때문에 해외 자본이 동요할 수 있어 정부는 금융안보 관점에서 현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정근 건국대 금융IT학과 교수 역시 “대외환경은 20년 전 외환위기 때보다 더 심각한 수준”이라며 “썰물처럼 위기가 몰려올 경우 한해 수입액의 25%와 유동외채 전액, 외국인 주식투자금 33%를 합한 4,670억달러에다 통계에 잡히지 않는 외환자금까지 포함하면 현재보다 1,300억달러 이상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반도를 둘러싼 국내외 위기감에 대한 우려는 한은 내부에서도 나온다. 지난달 21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금융 안정 상황 점검) 의사록을 보면 한 금통위원은 “글로벌 투자 회사들이 북한 리스크가 장기화될 경우 한국에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조정할 가능성이 있어 외국인 주체별 투자의 특성과 움직임을 잘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 금융 시장에서 해외 투자금이 급격히 빠져나갈 가능성을 경고한 것이다.
선제적으로 안전판 확대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우리나라의 통화스와프 체결은 한·말레이시아, 한·호주, 한·인니·CMMI 네 곳에 불과하다. 김천구 현대경제연 연구위원은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고 있어 외환방어막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필요는 있다”며 “중단된 통화스와프를 다시 체결하는 등 안전판 강화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현호·빈난새기자 hhle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