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년간 급성장해온 국내 개인간거래(P2P) 금융업계에서 중소형 업체 펀듀의 연체율이 60%를 넘으면서 P2P 업체에 투자한 투자자들에게 비상이 걸렸다.
15일 P2P 업계에 따르면 한국P2P금융협회에 소속된 60개 업체의 누적 대출액은 지난 9월 말 현재 1조4,735억원이다. 이 가운데 대출잔액은 7,300억원에 달한다. P2P 업체는 불특정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은 뒤 다시 특정 분야에 대출해 이익을 내고 만기상환일이 도래하면 투자자에게 원금과 약속했던 수익률을 되돌려준다. 투자자 입장에서 보면 누적 대출액은 투자자들이 P2P 업체에 직접 투자한 금액이고 대출잔액은 돌려받아야 할 원리금이다. 하지만 P2P 업체들이 자금모집만 한 후 대출상품 부실관리를 제대로 못해 수익을 내지 못하면서 투자자에 대한 원리금 상환도 제때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누적 대출 규모 10위권인 P2P 업체 펀듀가 투자자로부터 받은 240억원 중 150억원가량을 한 달 이상 상환하지 못하면서 다른 P2P 업체들도 비슷한 상황이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온다. 실제 연체율이 급증한 P2P 업체는 펀듀만이 아니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상품을 취급하는 펀딩플랫폼 역시 30% 넘는 연체율(부실률 포함)을 기록하고 있다. P2P 업체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급속한 성장을 이뤘는데 대출 후 철저히 관리해야 했지만 사후(대출) 관리가 미흡해 연체가 나타났다”고 토로했다.
일부에서는 P2P금융협회에 소속된 60개 업체의 9월 말 공시된 평균 연체율이 2.99%여서 일부 업체만의 문제가 아니냐며 전체 업권의 리스크로 보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펀듀가 무리한 투자자 모집을 위해 부실 관리가 어려운 대출상품을 내놓았다가 역풍을 맞은 것으로 전체 업체의 부실로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P2P 업계의 평균 연체율이 낮은 것은 일종의 착시로 상환기간이 도래하면 상환이 지연되는 투자상품들이 대거 발생할 것이라며 촉각을 세우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평균 연체율이 낮아 보이는 것은) 아직 상환기간이 남은 투자상품들에 의한 착시현상에 불과하다”며 “상환기간이 도래하면 후행적으로 평균 연체율도 급격히 치솟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P2P 업체들이 기존 대출상품의 만기가 돌아오며 목표로 했던 수익률을 달성하지 못한 상황에서 상환 압박에 몰리자 또다시 고수익률을 제시하는 새로운 투자상품으로 투자자를 현혹해 투자를 유도하는 등 돌려막기식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연체율 급등이 펀듀나 일부 중소형 P2P 업체에만 국한된 얘기가 아니라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P2P 업체들이 2년간 보여온 급성장세가 최근 들어 꺾이면서 업체들이 과당경쟁을 벌인 결과 부실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5월 금융당국이 투자자 보호를 위해 개인의 P2P 업체 투자한도를 연간 1,000만원으로 제한하자 투자금 모집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형 P2P 업체들이 무리한 수익률을 제시하며 부실 관리를 등한시한 결과라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투자한도를 제한하면서 투자금 모집에 어려움을 겪는 등 P2P의 성장세가 확 꺾였다”며 “어떻게든 투자금을 모집해놓고 보자는 업체 간 ‘치킨게임’이 중소형 업체들의 부실로 나타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P2P 업체의 평균 연체율은 전월(1.04%) 대비 1.95%포인트 상승하는 등 연체율 증가폭이 커지고 있다. /김기혁기자 coldmeta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