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파업시 정상운행 여부를 점검하고 운행률이 90∼99%라면 1단계 비상수송대책을 가동해 9호선 노선을 지나가는 시내버스 24개 노선에 예비차량 30대를 투입하기로 했다. 노량진, 여의도, 고속버스터미널, 당산, 가양, 염창, 국회의사당, 등촌, 신논현, 봉은사역을 경유하는 시내버스 노선에 예비차량이 배치된다.
다람쥐버스 2개 노선(8761·8551) 운행시간은 오전 6∼9시로 평소보다 1시간 늘리고 5부제로 운영되는 개인택시 부제를 풀어 택시 1만5,000여대를 공급할 계획이다.
운행률이 90% 아래로 떨어진다면 2단계 수송대책을 가동한다. 시내버스 46개 노선에 투입하는 예비차량을 62대로 늘리고 출근시간대(오전 6∼9시)에 전세버스 2개 노선을 운행한다. 종합운동장역∼여의도역 구간을 전세버스 26대가 순환 운행하고, 개화역∼여의도역 구간은 14대가 편도 운행한다
앞서 노조는 27일 서울 중구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 지하철) 1∼8호선은 직원 1인당 수송인력이 16만 명인데 9호선은 26만여 명에 달할 정도로 이용객 대비 인력이 부족하다”며 “살인적인 노동 강도와 턱없이 부족한 인력이 9호선을 ‘지옥철’로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노조는 인력 충원을 통한 △휴식시간 보장(38분→2시간) △교대업무 변경(3조2교대→5조3교대) △1인 근무역 폐지 등을 주장하고 있다.
노사협상에 관한 서울시의 ‘방관’도 논란거리다. 서울시는 이에 대해 “시는 9호선 운영사인 서울9호선운영㈜의 노사협상에는 직접 관여할 수 없다”며 “사업시행자(서울시메트로9호선㈜)에 대한 지도감독 권한을 이용해 운영사의 원만한 노사협상을 유도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서울9호선운영㈜는 민간 자본인 프랑스계 회사 ‘RDTA’가 80%, 현대로템이 20%를 각각 투자해 만든 회사다.
/김정욱기자 mykj@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