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는 협력업체의 납품 대금 인상을 통해 상생 협력에 나선다고 29일 밝혔다.
포스코는 지난 9월부터 협럭사들이 ‘두 자리 수 임금인상’을 할 수 있도록 1,000억원 수준의 외주비를 증액했다. 향후 3년간 외주비를 점진적으로 늘려 협력사 직원들의 임금인상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현재 포항과 광양에서 근무하고 있는 1만5,000여명의 직원들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포스코는 중소기업의 실질적인 지원 통한 동반성장을 실천하기 위해 지난 4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그리고 중소기업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1차 포스코 기술나눔 확산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포스코는 협약을 통해 포스코가 보유한 300개의 우수기술을 나눔기술로 제공하고, 이 중 69개 기술의 특허 83건을 24개 기업에 무상이전했다. 무상이전 대상 기술에는 △기계장치, 로봇, 이물질 제거기 등 산업용 기계 61건 △운행·주행, 설비장치 등 시스템 기술 83건 △친환경 에너지, 전기 등 신재생 에너지 80건 △철강, 소재 56건 등이 포함됐다.
아울러 포스코는 매년 설과 추석 등 명절에 앞서 중소기업의 자금난을 해소하고자 자금을 조기 집행해왔다. 특히 이번달 부터는 중견기업에도 대금 결제 시에도 전액 현금으로 지급함으로써 현금결재의 혜택이 2·3차 거래사까지 확산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 밖에도 포스코는 2011년 11월부터 아이디어 마켓 플레이스로 대표되는 벤처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해, 중소벤처기업 육성으로 일자리를 적극 창출하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사회 양극화 해소에 대한 노사의 공감과 통큰 양보가 있었기 때문에 이뤄진 일”이라며 “앞으로도 원하청을 아우르는 노사화합과 상생협력의 전형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우보기자 ubo@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