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여명] 언제까지 ‘되놈’이라 부를 수 있을까

한영일 바이오IT부장

中 'BAT' 앞세워 AI 드림팀 구축

4차산업혁명 'IT굴기' 속도내는데

韓, 촘촘한 규제그물에 갇혀 난항

넓고 깊은 '산업 웅덩이' 만들어야





‘되놈’ ‘짱깨’ ‘짱꼴라’.

우리나라 사람들이 흔히 중국인을 얕잡아 부르는 말이다. 짱깨는 짜장면집 사장을 뜻하는 장궤(掌櫃)의 변형이고 짱꼴라는 중국인의 중국말(중궈런)이 변했다고 한다. 되놈은 예전 만주지방의 여진족을 ‘되’라 불렀는데 이를 낮잡아 일컬으면서 생긴 말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해석이다.

사연이야 어찌됐든 우리는 가파른 경제성장을 등에 업고 중국을 60년 넘게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낮춰왔다. 하지만 세상이 변하고 있다. 광활한 시장을 앞세운 중국이 정치 파워에서 미국과 더불어 주요2개국(G2)으로 올라선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최근 4차 산업혁명 등 첨단산업에서도 괄목상대해서 더욱 그렇다.

지난달 말 중국 과학기술부는 오는 2030년까지 세계 최고로 발돋움하기 위해 중국의 3대 정보기술(IT) 기업인 바이두(百度)·알리바바(阿里巴巴)·텐센트(騰迅)와 음성인식 전문기업인 아이플라이텍 등 4개사를 AI 기술개발 협력사로 선정했다. BAT 3사는 시가총액을 더하면 무려 1,200조원에 달한다. 이들은 앞으로 자율주행, 도시인프라 솔루션, 인체진단 의료영상, 음성인식의 기술을 주고받고 13억명에 달하는 방대한 데이터를 공유한다. 중국이 사회주의 국가라는 특성상 ‘1,200조원짜리 AI 드림팀’을 만들 수 있었겠지만 이들이 기술협력을 통해 내놓을 결과물은 결코 작지 않을 것이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맥킨지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올해에만 신약 800개가 개발 중이다. 5년 새 3배가량 늘었다. 그동안 해외 기업에 재직했던 과학자들이 다시 복귀할 정도로 중국의 생명공학은 급성장 중이다. 실제로 올해 중국 제약업체들은 기업공개(IPO)와 벤처투자, 다국적 제약사와 라이선스 계약 등으로 11조원을 벌어들였다.



미래산업의 최선봉장인 AI와 생명공학에서 중국 거대기업들이 힘을 합치고 인재들이 복귀하는 과정을 거쳐 내놓을 성과를 생각하면 두려움마저 든다. 우리가 그동안 되놈이라 쉽게 부르는 사이 그들은 4차 산업혁명에서만큼은 이미 우리를 앞지르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우리가 이를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느냐다. 과거 정보통신부 장관을 역임한 진대제 스카이레이크인벤스트먼트 대표가 최근 “4차 산업혁명에서 진짜 큰 문제는 우리가 중국을 너무 무시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단언했듯 말이다. 물론 우리나라도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출범시키고 AI사업을 위해 일부 기업 간 연합전선도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본질은 법과 제도다. 기업이라는 게 결국 이 틀 안에서 뛰어놀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작은 연못에서는 큰 물고기가 살 수 없다. 4차 산업혁명이라는 패러다임에 제대로 올라타기 위해서는 그만큼 넓고 깊은 산업의 웅덩이를 만들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유료 카풀앱 ‘풀러스’의 사례처럼 새로운 서비스에 대해 당국이 경찰 고발부터 할 정도라면 어떻게 혁신이 이뤄지겠는가. 이를 놓고 한 IT 단체가 “마차의 기득권을 보장하기 위해 자동차규제법을 만든 19세기의 ‘붉은 깃발법’과 같다”며 혀를 찰 정도니 말이다.

구글과 페이스북·애플 등 쟁쟁한 미국 기업들은 우리나라를 제집처럼 여기고 개인정보를 멋대로 빼가고 ‘갑질’을 일삼고 있지만 정작 세금은커녕 그들의 매출조차 파악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일부 정치권은 국내 포털들을 규제해야 한다며 ‘뉴노멀법’을 들고나오고 있다. 보유특허가 무려 5만개가 넘는 구글이 활개치고 있는데 특허 2,000개를 가진 네이버부터 잡겠다는 격이다. 뭔가 앞뒤가 바뀌었다.

글로벌 IT공룡들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전 세계를 헤집고 다니고 중국 역시 국가중심 산업전략으로 ‘IT굴기’를 현실로 만들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생명윤리법·개인정보보호법 등 지나치게 촘촘한 규제그물에 막혀 끓는 물 속의 개구리가 돼가고 있다. 이렇게 가다간 머지않아 되놈을 ‘되님’으로 불러야 하는 시대에 살 것임은 자명하다. hanu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