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현지 주중 일본 외교관들과 대사관 관계자들은 “강대국과 주변 국가들을 대하는 중국의 전략 내면을 관통하고 있는 본질을 꿰뚫어야 한다”면서 “대국 자존심을 내세우지만 실리 앞에는 무너지는 속성을 활용한다면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중국이 안보와 국가 핵심이익을 내세우며 애국주의를 바탕으로 주변국을 압박하는 것은 사드 사태가 처음은 아니다. 주로 영토권 분쟁이나 ‘하나의 중국’ 이슈 등을 놓고 민감한 국민 정서를 이유로 여론을 부추기고 이를 바탕으로 각종 경제제재 조치를 취하면서 국내외 외교 무대에서 상대국을 집요하게 공격하는 전략을 써왔다. 실제 일본의 경우 지난 1972년 중일 수교 이후 2005년 교과서 왜곡 문제, 2010년 중국 선장의 일본 억류, 2012년 일본의 센카쿠 3개 섬 국유화 강행 등을 계기로 세 차례의 분쟁을 겪었다. 이 기간 반일 시위가 폭발하고 일본의 대중 수출이 급감하는 등 경제적 피해가 심각했다.
주중 베이징 일본 대사관에서 10여년 넘게 근무한 후 최근 본국으로 돌아간 한 일본 외교관은 “전에는 대중 투자와 경제협력으로 우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중국의 안보 이슈 등 이른바 국가 핵심 이해 문제에서는 정상적인 외교 화법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절감했다”며 “인도 등 다른 국가로 희토류 수입처를 다변화하는 등 외교·안보 등 국익 이슈에서는 장기전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중국의 반발 가능성을 익히 인지하고도 2012년 9월 일본이 센카쿠 3개 섬의 국유화를 강행한 것은 중국의 단기 보복은 감내하고 장기적인 측면에서 승부를 내려는 외교적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일본 외교관들은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장기적으로 실리에 민감한 중국의 속성을 지혜롭게 활용해 게이단렌 차원의 민간협력 등에 집중했던 일본의 경우처럼 다방면으로 접근한다면 새로운 모멘텀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이들은 설명했다.
이어 주중 일본 대사관의 다른 관계자는 “중국은 외교·안보 이슈 등 핵심 쟁점에서 고개를 숙이면 더 강하게 누르려는 모습을 보이고는 한다”며 “중국의 희토류 대응을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해 승소한 일본 사례처럼 양보할 수 없는 이슈의 경우 숙이지 않고 강하게 대처하는 것도 하나의 대응법”이라고 조언했다. 이밖에 일본 외교관들은 정부와 언론이 국익 이슈에서 한목소리를 낼 것과 중국에 대한 지나친 기대와 환상을 줄일 것 등을 아울러 주문했다.
다른 외교 사절도 “센카쿠 열도 사태를 계기로 일본은 중국의 압박을 넘어서는 해답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며 “주요2개국(G2)으로 올라선 중국이 겉으로는 대국 자존심을 세우지만 장기적으로 실리 찾기에 나설 수밖에 없기 때문에 조급증을 보이지 않고 집요하게 빈틈을 찾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베이징=홍병문특파원 hb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