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찾아낸 취약계층에게는 개인별 상황에 맞는 복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공공 복지서비스는 총 4만7,770명에게 제공하며 기초생활보장급여 6,712명, 차상위계층 지원 8,537명, 긴급복지 1,109명, 장애인 연금·사회서비스 이용권·요금 감면 등 기타 공공 복지서비스 3만1,412명 등이다. 나머지 2만8,868명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푸드뱅크 등 민간 기관의 복지 서비스를 받는다.
일례로 62세 남성 A씨는 이후 허리 수술 이후 일을 할 수 없어 형편이 크게 어려운 상태였다. 고시원에서 혼자 살았고 딸과는 연락이 안 됐다. 하지만 최근 복지 사각지대로 발굴돼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생계·의료·주거급여를 받을 수 있게 됐다.
지난해 복지 사각지대 발굴이 늘어난 것은 사각지대 발굴에 필요한 정보량을 확대한 덕분이다. 기존 단전·단수·건강보험료 체납 등 정보 외에 금융채무 연체·공공임대주택 임대료 체납·재난 피해·산재보험 요양급여 수급 종료 후 미취업 등 정보까지 추가했다. 읍면동 지방자치단체의 지역 밀착형 서비스, 예측 빅데이터 모형의 개선 등 영향도 있었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청년실업, 고령화 등에 따라 새로 발생하는 위기·취약가구를 빠르게 찾아내 필요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며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의 혜택을 국민 모두가 체감할 수 있게 사회안전망을 촘촘히 구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민준기자 morando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