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배리 엥글 제너럴모터스(GM) 총괄부사장 겸 해외사업부문(GM인터내셔널) 사장과 한국GM을 둘러싼 본격적인 협의에 나섰지만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당장 군산공장 매각 방안부터 노동조합과의 합의까지 주변 상황이 녹록지 않다. 정부와 여당에서는 “GM에 끌려다닐 필요가 없다”는 얘기가 나온다. 향후 한국GM 사태의 전개 시나리오를 부문별로 알아본다.
①군산공장 매각 후 전기차 전환 등 추진…30만대 규모는 걸림돌=GM은 군산공장 매각을 적극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업계에서는 한국GM 지분을 갖고 있는 상하이차(6.02%)가 매수 대상으로 언급된다. 군산이 중국과 가까운데다 상하이차는 지난해 6월 GM의 인도 할롤공장을 인수했다. 자동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상하이차가 줄곧 한국 시장에 관심을 가져왔고 지분도 있으니 GM이 우선 협상을 해보지 않겠느냐”고 전했다.
하지만 매각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에서 자동차는 양허에서 빠져 있다. 내수만 보고 진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30만대의 생산 규모도 부담이다. 현대자동차의 미국 앨라배마공장이 37만대로 30만대는 글로벌로도 작지 않은 규모다. 다른 국내 업체가 사기에도 덩치가 크다.
국내외 업체가 군산공장을 인수한 후 전기자동차를 만드는 ‘호주식 해법’도 아이디어로 거론된다. 홍영표 국회 환경노동위원장은 21일 “GM이 호주에서 철수했는데 거기는 영국 철강회사가 사서 전기차 공장으로 바꿨다”며 “군산 지역에 신성장 사업들을 유치하거나 육성하는 것들을 (정부가) 검토하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②부평(SUV)·창원(CUV) 신차 배정한다지만 생산 반 토막=GM은 부평공장에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창원에 크로스오버유틸리티차량(CUV)을 새로 배정해 연간 50만대의 생산량을 유지할 계획이다. 그러나 새로 배정되는 부평공장의 SUV는 현재 생산 중인 ‘트랙스’의 후속인 ‘9BUX’다. 지난해 한국GM이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차량은 51만9,385대이며 이 중 트랙스는 27만1,025대로 가장 많다. 결국 현상유지만 시켜주겠다는 뜻이다.
창원의 CUV는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전략 모델이어서 기대감은 높다. 하지만 창원에서 생산 중인 ‘스파크(지난해 14만1,634대)’가 빠진 자리에 CUV를 채워주는 형태다. 스파크가 빠진 자리에 넣어주는 CUV는 ‘현상유지+α’에 불과하다. 정부의 추가 지원과 노동조합의 양보가 있더라도 한국GM의 생산량은 지금의 100만대 체제에서 반 토막이 날 수밖에 없다.
③노조 추가 구조조정 최소화 나설 듯=한국GM 노조는 22일 임시 대의원대회를 열고 총파업 여부를 결정한다. 앞서 한국GM은 한국 공장에 대한 신차 배정의 전제조건으로 이달 말 임금 및 단체협상 타결을 제시했다. 연간 1,000만원을 웃도는 성과급 지급을 현실화하고 임금동결과 복리후생 축소도 내걸었다.
한국GM 안팎에서는 이달 중 임단협 타결은 쉽지 않겠지만 노사 양측이 타협점을 찾아가는 모습은 보이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나온다. 한국GM 노조도 군산공장 폐쇄를 되돌리기는 어렵고 전면파업 시 GM에 추가 구조조정의 빌미를 줄 수 있다는 점을 알고 있다는 얘기다. GM 노조는 사측과의 대화를 거부하고 있지만 부평이 지역구인 홍 위원장을 매개로 양측 간 입장이 어느 정도 조율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사태를 파국으로 몰고 가기보다는 추가 구조조정을 최소화하는 수준에서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④정부 강경 기조에 외투지역 등 난항 겪을 듯=정부는 GM이 요구한 생산공장의 개별형 외국인투자지역 지정은 쉽지 않다고 보고 있다. 신규 투자를 3,000만달러 이상 해야 하는데다 외투지역을 부실기업 지원에 활용하면 통상마찰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 내에서도 “회생 가능성이 불분명한 미국 기업에 혈세를 투입해야 하느냐”는 회의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정부의 태도도 바뀌었다.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GM이 실질적인 숫자를 갖고 오지 않기 때문에 만나야 할 필요성에 대해 생각해봐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 산업부는 장관 대신 이인호 차관이 22일 엥글 사장을 만나기로 했다. 정부는 GM이 출자전환 외에 신규자금 투자도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추가로 선 실사, 후 지원 여부 결정 방침을 고려하면 정부와 GM의 협상은 최소 수개월 이상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세종=김영필·김상훈기자 조민규기자 susop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