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8년간 공적자금을 지원받아온 중견 조선사 성동조선을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에 넣기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문재인 정부 들어 신구조조정 방안이 적용된 첫 사례인데 ‘좀비기업’도 다 살린다는 비판을 의식한 결과로 보인다.
6일 금융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정부는 8일 산업경쟁력강화 관계 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구조조정 방안을 발표한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8일 관계 장관회의를 열고 중견 조선사 구조조정 방안을 내놓을 것”이라며 “성동은 그동안의 예측과 다를 것”이라고 말해 정리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했다.
이미 성동조선은 지난해 한영EY의 1차 실사 당시 청산가치(7,000억원)가 존속가치(2,000억원)의 세 배를 넘었다. 그럼에도 정부는 금융논리뿐 아니라 산업적 측면의 경쟁력을 따지겠다며 삼정KPMG에 2차 컨설팅을 의뢰했다. 정부 안팎에서는 일자리와 지역경제를 강조하는 정부의 구조조정 방침상 STX조선해양과 함께 성동조선도 살릴 것으로 봤다.
하지만 채권단과 금융당국이 거세게 반발하면서 정부도 최종적으로 성동조선을 정리하기로 입장을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6월 말 현재 성동조선의 자본금은 -1조4,306억원으로 자본잠식 상태다. 6개월간 영업이익은 132억원에 그쳤다. 직원 수는 1,250명 수준이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컨설팅 초반 분위기와 달리 최근에 성동을 정리하자는 얘기가 나온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14면으로 계속 /세종=김상훈기자 ksh25th@sedaily.com
‘모든 기업 안 살린다’ ...구조조정 원칙 세우기
금타·한국GM에 경고의미도
성동조선의 위기는 지난 201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조선 경기 불황의 그늘이 국내 조선사를 덮쳤고 수출입은행을 포함한 채권은행은 2010년 4월 성동조선과 경영 정상화를 위한 자율협약을 맺고 추가 지원에 나섰다. 이후 수은과 우리은행·농협은행·한국무역보험공사 등 4개 채권 금융기관이 세 차례에 걸쳐 성동조선에 빌려준 돈 1조4,000억원을 출자전환 방식으로 지원했다. 이외에 4개 금융기관이 성동조선에 대출해줬다 받지 못한 돈도 2016년 말 기준으로 2조4,434억원(잔액 기준)에 달한다.
이 같은 대규모 자금지원에도 성동조선은 살아나지 못했다. 이 때문에 2016년 상반기 주채권은행인 수은은 대손충당금을 대거 쌓으면서 9,400억원 규모의 사상 첫 적자를 기록하기도 했다. 그해 수은은 자본 확충을 위해 정부로부터 1조2,000억원의 현금 출자를 받았다.
정부가 성동조선을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로 보내기로 가닥을 잡은 것도 이 같은 상황이 나아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다. 성동조선의 유동성 자금과 일감은 이미 바닥을 드러낸 상태다. 이 회사 수주 잔량은 현재 5척에 불과하다.
구조조정의 원칙을 세운다는 의미도 강하다. 모든 기업을 다 살리는 게 아니라는 메시지를 주려는 것이다. 한국GM과 금호타이어 노동조합에 대한 경고 의미도 담겼다.
성동조선은 이제 법원의 채무 재조정 등 회생 절차를 밟은 뒤 인수합병(M&A)을 통해 새 주인을 찾아야 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정부는 성동조선의 처리 방안에 기존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과 법정관리의 장점을 결합한 ‘프리패키지드 플랜(P플랜)’ 제도도 적용하지 않기로 잠정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성동조선이 법정관리에 들어간다고 해도 돈이 없고 향후 전망도 불투명해 살아날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설명했다.
성동조선과 함께 구조조정 도마 위에 오른 STX는 추가 인력 감축과 선종 특화 등을 통해 정상화하기로 가닥이 잡혔다. STX는 지난해 7월 법정관리를 졸업하며 1,000억원가량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고 수주 잔량도 16척으로 아직 일감이 남은 상태다. 재계의 고위관계자는 “STX조선은 최근 산업은행으로부터 구조조정을 전제로 회생을 시킬 테니 관련 자료를 제출하라고 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세종=김상훈기자 ksh25th@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