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 돈의 25% 정도를 이자로 내는 취약차주가 작년 150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가 지난해부터 취약차주 관리 대책을 쏟아냈지만 증가세가 꺾이지 않았다. 본격적인 금리 인상기여서 취약차주의 고통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29일 이런 내용을 담은 ‘금융안정상황’ 보고서를 금융통화위원회에 제출했다.
자료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취약차주는 149만9,000명으로 전년보다 3만3,000명이 늘었다. 전체 가계대출자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도 8.0%로 전년보다 줄지 못했다. 취약차주는 3곳 이상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7~10등급 저신용자이거나 소득 하위 30% 저소득자인 사람이다.
이들의 이자 총체적상환능력비율(이자 DSR·연소득 대비 이자 상환액)은 24.4%에 이르렀다. 소득의 4분의 1을 이자로 내고 있는 셈이다. 전체 대출자는 소득의 9.5%만을 이자로 내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빚 부담이 훨씬 크다.
지난해 취약차주의 대출 규모 역시 전년보다 4조2,000억원(6.0%)이 늘어나 82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들이 돈을 빌린 곳은 대부분 상호금융, 여신전문금융회사, 저축은행, 대부업 등 비은행권이었다. 작년 취약차주의 비은행 대출 비중은 66.4%에 이르렀다. 전체 대출자(43.1%)보다 20%포인트 이상 높은 수치다. 비은행권은 은행보다 이자가 높아 대출자의 빚 부담이 커진다.
더 큰 문제는 기준금리 인상으로 취약차주의 빚 부담이 더 커질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한은에 따르면 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전체 차주의 이자 DSR은 1.4%포인트 상승한다. 하지만 취약차주의 경우 1.7%포인트 커진다. 1년에 200만원 버는 취약차주가 있다면 지금은 48만8,000원을 이자로 내지만 금리 1%포인트 상승 땐 이자 상환액이 52만2,000원으로 늘어난다는 얘기다.
한은 관계자는 “취약차주 수와 부채 규모가 늘어나는 가운데 대출금리가 오르면 빚 부담이 더 커지기 때문에 각별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기업 역시 빚이 많고 재무구조가 부실한 ‘좀비기업’ 문제가 심각하다. 한은에 따르면 5년 연속 영업이익으로 빚조차 못 갚는 기업은 2016년 1,608개에 이르렀다. 전체 외감기업의 7.3% 수준이다. 9년 연속 이자보상율이 100%을 밑도는 기업도 504개였다.
/서민준기자 morando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