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고혜진 경북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이 2005∼2015년 발표된 중년·노년기 비만과 치매 관련 연구논문 12편을 메타 분석한 결과다. 12편에서 조사된 인원은 200만명이 넘는다.
고 교수팀은 “중년 비만은 심혈관·대사질환 위험을 높이는데 모두 치매의 위험 요인”이라며 “최근에는 대사증후군과 인지장애가 함께 나타나는 ‘대사성-인지기능장애 증후군’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비만은 뇌 조직과 기능을 변화시켜 인지기능 저하, 치매 유병률을 높이는 위험요인 중 하나다. 특히 지방 조직에서 분비되는 염증성 물질(사이토카인)인 아디포카인은 염증 반응→인슐린 저항성→심혈관·대사질환을 일으키고 그 합병증으로 치매 위험을 높인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반면 노년기 비만과 치매 간 상관관계에 대한 3편의 연구는 분석 결과가 엇갈렸다. “노인이 비만하면, 즉 체질량지수(BMI)가 25 이상이면 치매 예방인자로 작용한다” “BMI 감소는 치매의 예고탄으로 볼 수 있다. 노년기 체중 감소는 뇌에서 렙틴 신호전달을 감소시켜 해마의 기능 감소→ 인지장애 및 치매로 이어진다” “70세 이상, 특히 여성에서는 과체중일수록 치매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식이다.
고 교수팀은 “노년기에는 신체활동과 체중이 줄고 근감소증이 나타난다. 또 치매·만성질환 유병률이 높고 신체활동·식이·음주·교육 수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므로 치매와의 상관관계 해석에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BMI 기준 비만도 뿐만 아니라 복부비만도, 영상검사 등 직접적인 방법을 포함해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결과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