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업계에 따르면 코인네스트의 김 대표가 횡령·사기 혐의로 긴급체포 돼 현재 구속 상태임에도 여전히 대표직을 유지하고 있어 투자자를 대상으로 말을 번복했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긴급체포 당시 코인네스트 측은 “고객 불안 해소 및 성실한 소명 여건을 위해 지난 조사 시점부터 사건 관련 경영진의 참여를 분리했으며 전문경영진 체제로 전환돼 운영되고 있다”고 공지했었다. 이에 대해 코인네스트 관계자는 “무혐의 가능성이 없지 않아 대표를 바꾸지 않고 있다”면서 “수사 결과에 따라 대표직 유지 여부가 달라질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뿐만 아니라 코인네스트는 암호화폐 투자자 유치를 위해 블록체인 기술 설명회의 일종인 ‘캠업’을 오는 30일 개최하기로 했다.
이번 사건은 하루에 많게는 수백억원 규모의 암호화폐가 오가는 거래소도 최고경영자(CEO)가 구속되는 등 문제가 발생했을 때 경영에서 배제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드러낸 것이라고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홍기훈 홍익대 교수는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외형적으로는 성장했지만 사업을 시작한 지 불과 1~2년 된 스타트업에 지나지 않는다”면서 “이런 사업구조 탓에 앞으로 비슷한 문제가 반복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한국블록체인협회의 자율규제안이 벌써 허점을 드러냈다는 지적이 나온다. 협회는 지난 17일 암호화폐 거래기록을 5년 동안 보관하게 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자율규제안을 발표하고 다음달 말까지 심사하기로 했다. 하지만 코인네스트는 최근 협회를 탈퇴해 자율규제안을 따를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른 불이익도 전혀 없다.
중소거래소의 한 관계자는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다음으로 큰 거래소가 업계의 자정작용 움직임에 동참하지 않고 있다”면서 “일종의 편법적인 방식으로 몸집을 키우고 있는데 한 명이라도 고객을 더 끌어모아야 할 작은 거래소들이 자율규제안을 그대로 따를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김기혁기자 coldmeta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