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송파 세 모녀 사건’을 계기로 지난 2015년 시작한 찾동은 복지 서비스가 필요한 시민들의 신청을 단순히 접수하는 데서 벗어나 공무원들이 직접 복지가 필요한 시민들을 발굴하는 정책이다. 2015년 7월 13개 자치구, 80개 동에서 시작됐으며 현재 24개 구, 342개 동에서 서비스를 진행 중이다. 2일부터는 66개 동에서 추가로 찾동을 시작해 서울 관내 25개 구 가운데 424개 동 중 96%(408개)가 이 서비스를 하게 됐다.
이번 확대의 핵심은 지난 3년간 참여하지 않았던 강남구가 처음으로 찾동에 동참한다는 것이다. 6개 동이 먼저 참여하고 나머지는 내년부터 도입을 검토하기로 했다.
강남구는 찾동과 비슷한 형태의 복지정책인 ‘읍·면·동 복지 허브화’ 사업을 진행하면서 중복사업을 배제한다는 이유로 지금까지 찾동에는 불참했었다. 자유한국당 소속인 신연희 강남구청장과 더불어민주당 박 시장의 오랜 갈등도 원인이 됐다. 그러던 가운데 신 구청장이 업무상 횡령 혐의로 구속된 상태에서 6·13 지방선거도 다가오면서 결국 찾동 사업에 동참한 것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내년부터는 행정서류 발급과 민원행정 중심의 기존 동주민센터 기능이 약화되고 서울시 전역이 주민을 직접 찾아가는 마을·복지 중심 ‘찾동’ 체제로 바뀌게 된다”고 말했다.
한편 동주민센터는 단순한 민원 처리 공간에서 주민활동공간으로 변하면서 주민이 마을계획 기획부터 결정·실행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서울시는 자문기구에 머물렀던 동별 주민자치위원회를 정책과 예산 관련 실질적인 결정권한을 갖는 ‘서울형 주민자치회’로 전환하고 올해 17개 구, 91개 동으로 확산하기로 했다. 현재는 4개 구, 26개 동에서 시범운영 중이다.
지역 문제 해결에 쓰일 수 있도록 주민세 균등분의 상당 부분을 주민자치회에 활용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서울형 주민자치회’는 오는 2021년 전체 424개 동 확대가 목표다.
/최수문기자 chs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