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저축은행중앙회와 업계에 따르면 금융 당국의 중금리 기준에 맞는 자체 신용대출 상품을 취급하는 저축은행은 올 1·4분기 현재 SBI·유진·페퍼·KB·신한·하나·대신·JT저축은행 등 여덟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용대출을 판매 중인 저축은행 29개사 중 27.5%에 그친 수준이다.
금융 당국은 중금리 대출을 활성화하기 위해 최근 저축은행권의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전년 대비 7%로 제한하되 연평균금리 16.5% 이하의 중금리 대출상품은 산정 시 제외하는 내용으로 총량규제를 시행하기로 했다. 지난해에는 자체 중금리 상품도 산정 시 포함됐었다. 당장 이같이 완화된 총량규제의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여덟곳은 모두 총자산 1조원 이상의 중대형 저축은행이다. SBI저축은행은 신용등급 4~6등급의 중신용자를 대상으로 11~13%대에 중금리 대출 ‘사이다’를 판매하고 있으며 KB·신한·하나저축은행 등 금융지주계열 저축은행은 같은 계열사인 은행에서 대출받기 어려운 중신용자를 대상으로 비슷한 수준의 금리로 대출을 공급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비대면 채널 비중이 높거나 은행과 연계하는 등 영업망이 넓은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중금리 대출이 취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른 소형 저축은행들은 정부 정책에 부응해 중금리 대출 상품을 많이 팔고 싶어도 금리를 쉽게 낮추기는 어렵다는 반응이다. 저신용자에게 대출을 내준 후 부실이 발생해 생기는 대손비용을 감당할 정도로 저축은행의 자본력이 충분하지 않아서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들이 중금리 기준을 맞추기 위해 신용등급 7등급 이하 저신용자를 거절하면서 취약차주의 ‘대출절벽’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 소형 저축은행의 대표는 “중금리 대출이 총량규제에서 제외된 만큼 지난해보다는 늘릴 것”이라면서도 “연 금리 16.5% 이하의 기준을 맞추기 위해 우량 고객 위주로 대출을 내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금융 당국은 사잇돌대출이나 안전망 대출 등 서민정책 금융상품으로 이들을 흡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저신용자의 상환 가능성을 제대로 평가하지 않고 무작정 빌려주는 저축은행의 영업 관행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기혁기자 coldmeta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