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이 파산할 경우 예금자보호를 받지 못하는 5,000만원 초과 예금액이 5조7,000억원에 육박했다. 저축은행에 대한 신뢰가 어느 정도 회복했고, 은행보다 높은 금리를 쳐주는 매력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19일 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으로 저축은행 79곳과 저축은행중앙회에 5,000만원 넘게 맡긴 예금주는 6만7,888명이었다. 법인은 1,907개로 지난해 말보다 166개(8.0%) 줄었지만, 개인은 6만5,981명으로 3개월새 4,568명(7.4%) 늘었다.
이들은 총 9조1,000억원을 저축은행에 맡겼다. 이들이 맡긴 돈 가운데 예금자당 보호받을 수 있는 5,000만원씩을 제외하고 보호 못 받는 돈만 계산하면 5조6,629억원이 나왔다. 지난해 말(5조4,138억원)보다 2,491억원 늘어난 규모다. 전체 저축은행 예금에서 보호받지 못하는 돈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지난해 말 17.0%에서 올해 3월말 17.4%로 0.4%포인트 상승했다.
저축은행의 5,000만원 초과 예금액은 2009년 말 7조6,000억원에 이를 정도로 많았다. 그러나 2011년 저축은행 부실 사태를 겪으면서 저축은행은 5,000만원 이하로만 예금하는 것이 상식처럼 됐고, 2013년 3분기에는 1조7,000억원까지 감소했지만 최근 저축은행으로 돈이 몰리면서 5,000만원 초과 예금 규모도 커지고 있다. 2015년 말 2조4,000억원이었던 5,000만원 초과 예금은 2016년 말 4조5,000억원, 지난해 말 5조4,000억원까지 뛰었다. 이 추세대로라면 올해 6조원을 돌파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5,000만원 초과예금의 1인당 평균예금은 개인이 8,500만원, 법인이 18억2,200만원이었다. 개인은 전분기보다 200만원 늘어난 한편 법인은 3개월새 1억4,000만원이 뛰었다. 저축은행권 관계자는 “법인도 자금을 융통할 곳이 많지 않아 금리가 높은 곳에 예금해 두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처럼 저축은행으로 다시 돈이 몰리는 것은 우선 저축은행이 체질개선을 통해 건전성이 좋아졌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저축은행의 건전성은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로 평가한다. 금융감독원은 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8% 이상, 고정이하여신비율은 8% 이하를 요구하는데 올해 1분기 말 저축은행들의 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14.15%, 고정이하여신비율은 5.2%였다.
저축은행의 상대적으로 높은 예금금리도 주요한 원인으로 꼽힌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저축은행의 1년 정기예금 평균금리는 2.46%로 은행(2.02%)보다 0.44%포인트 높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너무 많은 돈을 한 저축은행에 맡기기보다는 예금자보호가 되는 한도 내로 여러 저축은행에 나눠 맡길 것을 권유한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저축은행의 건전성 지표가 전 분기보다 소폭 하락했다며 저축은행이 선제적으로 리스크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저축은행당 원금과 이자를 합쳐 5,000만원씩 분산해 가입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