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고용동향은 청와대의 판단이 얼마나 현실과 동떨어졌는지를 그대로 보여준다.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12만6,000명 전년동기 대비 10만6,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10만명대조차 무너졌던 지난 5월(7만2,000명 증가)보다는 나아졌다고 볼 수 있지만, 정부가 외쳐오던 ‘기저효과’를 고려하면 지난달보다 결코 나아졌다고 보기 어렵다. 또 두 달 전 청와대 인사의 발언을 되짚는다면 청년일자리를 위한 추가경정예산이나 정부의 공공일자리 확대정책, 이달부터 시행한 근로시간 단축 등이 전혀 효과를 내지 못했다고도 해석할 수 있다.
이번 고용통계에서 특히 우려스러운 점은 제조업 일자리가 눈에 띄게 줄었다는 점이다. 제조업 취업자는 12만6,000명(-2.7%) 줄어 가장 큰 감소폭을 기록했다. 제조업 취업자가 10만명 넘게 준 것은 조선·해운 구조조정 여파가 계속되던 지난해 1월(-17만명) 이후 처음이다. 정부는 기업 구조조정과 자동차 판매 부진을 원인으로 꼽았는데, 서비스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질의 일자리로 분류되는 제조업이 흔들린다는 점에서 앞으로 고용뿐만 아니라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학생 수 감소로 갈수록 악화하는 교육서비스업에서도 10만7,000명이 감소했고,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및임대서비스업(-4만6,000명)의 감소폭도 컸다. 그나마 지난 달에는 지방선거의 영향으로 정당 종사자가 포함된 협회와 단체와 정보통신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여론조사 포함) 등의 특수가 반영됐는데, 이 같은 1회성 요인을 배제하면 실제 고용 여건은 더 나쁘다고 볼 수 있다.
주력산업은 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설비투자 감소와 더딘 내수 회복세 등을 고려할 때 올 하반기 고용 상황도 낙관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이에 따라 정부가 올해 취업자 수 목표로 제시한 32만명은 달성 실패가 확실시 된다. 올 들어 지난달까지 상반기 취업자 증가폭은 14만2,000명으로 정부 목표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하반기에 매월 취업자수가 45만명 이상을 기록해야만 연평균 목표치가 정부 계획에 근접하는 데, 현재 추세로는 달성이 불가능하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도 “상반기 평균만 보면 정부 목표와 좀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고용 개선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자 정부는 취업자 수 증가폭이 저조한 이유를 인구구조 탓으로 돌리고 있다.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지난 4월 6만6,000명 감소했고 5월(-7만8,000명)과 6월(-8만명)에도 줄어든 데 이어 2020년 24만명, 2024년 34만명 급감하는 만큼 취업자도 늘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구조변화는 정부가 취업자 증가수 목표 30만명을 제시할 때도 예상된 만큼 정부 해명의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비판이 나온다.
/세종=임진혁·강광우기자 libera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