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분간 박스권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하반기 기업 실적에 큰 기대를 걸기 어려운 상황인 탓에 주가 반등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외부 요인인 무역분쟁, 신흥국 자금 이탈 등이 증시의 발목을 잡으면서 투자 시계도 잔뜩 흐려졌다. 하지만 주요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은 이 같은 장세 속에서도 성장이 기대되는 종목, 외풍을 피할 수 있는 업종 등을 중심으로 투자 전략을 짤 것을 조언하고 있다. 성장 전망이 상대적으로 밝지만 저평가된 정보기술(IT) 업종과 금융, 미디어 업종 등이 해답으로 제시된다.
26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3·4분기 코스피 상장사들의 전체 영업이익 전망치는 지난 4월 56조4,000억원대에서 현재(23일 기준) 55조8,308억원까지 소폭 하향 조정됐다. 4·4분기 전망치 역시 52조5,036억원에서 51조4,025억원으로 내려왔다. 이는 증권사 3곳 이상이 전망치를 낸 218개 종목을 대상으로 집계한 수치다.
이들 218개 종목 중 3·4분기 영업이익 전망치가 연초보다 상향 조정된 종목은 62개였고, 영업이익 전망치 상향폭이 3% 이상인 종목은 40개에 그쳤다. 최악의 실적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부진한 증시를 끌어올릴 동력이 되기 어려워 보인다. 윤희도 한국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기업 이익이 견조하게 유지되면서 4·4분기 증시가 반등할 가능성도 있지만 당장 3·4분기에는 미국·중국 무역갈등에 대한 우려로 증시가 박스권 속에서 등락을 거듭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한국투자증권은 코스피가 당분간 2,200~2,500선에서 움직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같은 장세에서 가장 먼저 주목해야 할 투자 대안으로는 상대적으로 실적 전망이 좋은 종목이 꼽힌다. 국내 증시의 대표주인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는 3·4분기 영업이익이 17조3,180억원, 6조2,761억원으로 연초 대비 각각 4%, 39% 상향 조정됐다. 삼성전기(009150)(57%), 삼성SDI(006400)(50%), 삼성에스디에스(018260)(9%), LG이노텍(011070)(6%), 삼화콘덴서(001820)(196%) 등의 IT 종목도 영업이익 상향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T는 실적 전망치가 상대적으로 밝지만 그동안 주가가 많이 떨어진 탓에 저평가 메리트까지 지녔다. 윤지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3·4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치가 많이 내려와 있기 때문에 10월에 실적 발표가 시작되면 오히려 괜찮을 수 있다”며 “3·4분기가 성수기이기도 한 IT 업종은 저평가 상태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금융주도 실적 전망이 밝다. 우리은행과 삼성생명(032830)은 3·4분기 영업이익 전망치가 연초보다 30% 이상 상향 조정됐고 미래에셋대우(006800)(27%), 한국금융지주(071050)(20%) 등도 추정치가 대폭 올랐다.
실적이 뒷받침되며 제품 가격 인상 호재가 있는 철강주도 반등 가능성이 제기된다. 철강업종 대장주인 POSCO(005490)(포스코)는 올해 2·4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16조833억원, 영업이익 1조2,523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7.6%와 27.9% 증가했고, 특히 영업이익은 4분기 연속 1조원을 넘겼다. 현대제철(004020)도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5조4,477억, 3,75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1%, 7.0% 늘었다.
무역전쟁 등 외풍이 심한 상황에서 시장의 흐름을 거스르는 ‘역발상 투자’도 해법으로 꼽힌다. 오현석 삼성증권 투자전략센터장은 “일시적인 잡음으로 주가가 단기 하락한 종목을 눈여겨보라”며 4차 산업혁명 관련주, 사업 재편이 진행 중인 종목 등을 꼽았다. 예를 들어 4차 산업혁명 관련주는 성장성이 여전하지만 투자 증가에 따른 수익성 약화, 규제 등으로 주가가 부진하다. 이 같은 종목을 미리 잡으라는 이야기다. 오 센터장은 이밖에도 “소확행·52시간 근로제와 워라밸·공유경제 같은 트렌드로 수혜를 볼 수 있는 미디어 업종이나 시대적 흐름에 맞춘 도전으로 알짜 이익을 창출하는 카카오(035720)·CJ 등의 종목도 추천한다”고 밝혔다.
윤희도 센터장도 IT와 미디어, 콘텐츠 등의 업종을 눈여겨봐야 한다고 밝혔다. 윤 센터장은 “이들 업종과 통신, 헬스케어 등은 경기 흐름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성장할 수 있는 업종”이라고 설명했다.
/유주희기자 ginger@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