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우외환을 겪고 있는 중국의 가장 큰 위험요인은 국가부채다. 중국의 총부채는 국민총생산(GDP) 대비 300%를 넘어 신흥국 평균의 두 배 수준에 달하고 지난 10년간 전 세계적으로 가장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전 전 위원장은 “중국의 부채 증가는 가계·기업·지방정부에 걸친 복합적인 문제로 통제가 쉽지 않고 급격한 부채 축소는 경제활동을 위축시키는 악순환을 일으킨다”며 “미국의 잇단 금리 인상은 중국 내 자본 이탈을 부추길 수 있다”고 내다봤다.
세계의 공장으로 자본을 빨아들이던 시대도 이제는 끝났다. 전 전 위원장은 “중국의 올 상반기 경상수지는 20년 만에 처음으로 적자를 기록했다”며 “실물경제의 위기가 금융으로 번지고 미중 무역분쟁에 민심이반까지 나타나며 리스크가 그 어느 때보다 높다”고 진단했다.
이런 상황을 반영하듯 경기선행지표로 볼 수 있는 주가지수 역시 바닥권을 맴돌고 있다. 전 전 위원장은 “중국과 일본 증시가 상승세지만 중국은 최근 10년간 고점 대비 절반에 그치고 있다”며 “위안화 급락 등 금융 시스템의 불안과 소비·투자 감소로 인한 실물경제 침체를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중국이 한순간에 무너질 가능성은 낮다는 게 그의 분석이다. 전 전 위원장은 “중국의 외환보유액이 3조달러에 달하고 국가의 통제력이 강해 경착륙 시나리오까지 갈 확률은 높지 않다”면서도 “몸이 여기저기 아프면 아무리 덩치가 커도 영향을 안 받을 수 없듯 파장이 가장 크게 미치는 한국은 이를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진혁기자 libera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