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위를 지나 건설 수요가 늘어나는 성수기를 맞이한 레미콘 업계가 ‘모래 공포’에 휩싸였다. 치솟은 모래값 때문에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한 데다 수급 불안정까지 점쳐지며 레미콘 업계에는 무거운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12일 레미콘 업계에 따르면 필수 골재인 모래 가격은 현재 ㎥당 바닷모래 기준 2만 2,000~2만 4,000원(인천), 3만 5,000~3만 7,000원(영남)에서 최대 20% 이상 상승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미 영남 지역에서는 모랫값이 치솟기 시작했다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다
불과 2년 전만 해도 모래 가격은 지금의 절반 수준이었다. 지난 2016년 평균 모래 가격은 1만 1,000~1만 2,000원(인천), 1만 6,000~1만 8,000원(영남) 선이었다. 그러다 정부가 지난해 1월 남해 배타적경제수역(EEZ)의 바닷모래 채취를 금지한 이후 모랫값이 가파르게 상승하며 3개월 만인 지난해 4월 인천과 영남 모래 가격이 각각 1만 6,000원, 3만원 선까지 치솟은 후 현재까지 오름세가 지속되고 있다.
남해 EEZ 모래 채취는 2008년 부산 신항 등 국책 사업을 위해 10년간 한시적으로 허용됐으나 실제로는 민간 모래 시장에 중요한 공급처 역할을 해왔다. 그러자 어민들이 어장을 황폐화시킨다며 들고 일어나 지난해 1월 전격적으로 금지 조치가 나왔다. 현재도 해양수산부와 수협, 어민들이 모래 채취를 반대하는 반면, 국토교통부와 건설업계는 모래 채취가 어업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며 맞서고 있는 상태다.
레미콘에서 모래가 차지하는 비중은 크다. 레미콘의 기본 단위인 1㎥의 무게는 2,300㎏ 정도인데 이 중 모래 중량이 800~1,000㎏로, 적게는 38%에서 많게는 48%까지 모래가 차지한다. 여기에 시멘트가 300~400㎏, 자갈이 600~800㎏ 들어가는 점을 감안하면 모래 비중이 절대적인 셈이다. 가격 측면에서도 전국 평균 6만 6,300원인 레미콘 1㎥ 가격(25-240-15 규격 기준)은 중 모랫값이 1만 2,000원 정도 차지하는 실정이다. 레미콘의 평균 영업이익률이 5%를 밑도는 상황에서 모랫값 추가 상승은 치명타가 될 수 있다는 게 레미콘 업계의 주장이다.
업계는 최근 터진 불법 골재 사건이 모랫값 인상을 부추길 뿐만 아니라 공급마저 위축시킬 수 있다며 예의주시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바닷모래 수급이 확 줄어든 이후 자갈을 깨 만든 파쇄사(부순 모래 ) 공급이 늘어났는데 파쇄사는 자연에서 형성된 모래보다 표면이 거칠지 않은 경우가 많아 품질 검사가 철저하게 이뤄진다”며 “최근 무등록 업체가 만든 불법 파쇄사가 중소 레미콘 업체로 흘러가며 일부 대형 건설 현장에 쓰인 것으로 드러나면서 골재 업계 전반적으로 위축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어 “더 나아가 골재 전반에 대한 검사와 감독이 강화되면 자칫 골재가 없어 레미콘을 못 만들고, 레미콘이 없어 건설 현장이 멈추는 ‘골재 파동’까지 일어날 수 있다”며 우려를 전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정상적인 골재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라고 입을 모은다. 또 다른 관계자는 “국가가 품질을 인증한 골재가 합리적인 가격에 충분히 유통되면 굳이 불법 골재를 살 이유가 있겠냐”면서 “모랫값이 두 배 이상 올랐는데 레미콘 가격은 제자리이기 때문에 벌어진 불법 행위로 해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설상가상으로 주요 원자재 공급처인 시멘트 업계의 가격 인상 시도도 레미콘 업계를 떨게 하고 있다. 시멘트 업계는 톤당 6만 2,000~6만 4,000원인 단가를 6만 7,000원으로 정상화하겠다며 레미콘 업계를 압박하고 있다. 레미콘 업계 관계자는 “금융투자업계도 가격 인상을 기정사실화하면서 시멘트 기업 실적 개선을 앞다퉈 점치고 있어 레미콘 업계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맹준호기자 next@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