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세동 환자는 최고혈압(수축기 혈압)을 120~129㎜Hg까지, 이완기 혈압을 80㎜Hg 미만을 유지해야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는 국내 고혈압 진단 기준(수축기/이완기 140/90㎜Hg)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해야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정보영·김태훈 교수팀과 분당차병원 심장내과 양필성 교수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바탕으로 2005~2015년 심방세동으로 새롭게 진단받은 환자 29만8,374명의 혈압과 사망, 합병증 발병률을 조사해 이러한 성과를 얻었다고 18일 발표했다. 연구결과는 국제적 심장질환 학술지인 ‘미국심장학회지’(JACC) 최근호에 실렸다.
현재 국내 기준은 수축기 혈압이 140㎜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Hg 이상인 경우에만 고혈압으로 진단한다. 반면, 미국에서는 지난해 고혈압 진단 기준을 ‘수축기/이완기 130/80㎜Hg’로 한 단계 엄격히 했다. 연구팀은 국내 고혈압 기준에는 미달이지만, 미국의 새로운 진단 기준으로는 고혈압에 해당하는 ‘수축기 130~139㎜Hg 또는 이완기 80~89㎜Hg’인 심방세동 환자의 합병증 발생률을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이들의 주요 합병증 발생률은 정상 혈압의 심방세동 환자 대비 주요 심혈관질환은 7%, 뇌경색과 뇌출혈은 각각 11%, 입원이 필요한 수준의 심부전은 6% 높은·수치를 보였다.
정 교수는 “미국의 새 고혈압 진단 기준이 심방세동 환자의 고혈압을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한 관리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심방세동 환자의 구체적인 혈압 관리 목표치를 추정했고, ‘수축기 120~129㎜Hg, 이완기 80㎜Hg 미만’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판단했다. 이는 주요 심혈관질환·뇌졸중·심부전 등 대부분의 합병증 발생 위험이 이 혈압 구간대에서 가장 낮았기 때문이다. 그는 “고혈압 치료를 받는 심방세동 환자군은 수축기 120~129㎜Hg, 이완기 80㎜Hg 미만을 기준으로 혈압이 오를 때마다 합병증 발생 위험도 동반 상승했다”며 “국내 고혈압 진단 기준보다도 더 엄격한 수준으로 혈압 관리 목표치로 삼아야만 합병증 위험을 떨어뜨릴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심방세동이란 심장이 불규칙하게 떨리는 것을 의미하며 심박수가 불규칙하고 종종 매우 빠르게 움직인다. 또한 심계항진, 피로, 호흡 곤란과 같은 증상을 유발하며, 뇌졸중을 유발하고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심박세동 상태 자체는 생명을 위협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지만 이를 가진 사람들은 혈전이 형성되고 뇌졸중을 겪을 가능성이 다른 사람들보다 5 ~ 7배 더 높다. /노진표 인턴기자 jproh93@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