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페이, 카카오페이, 네이버 N페이 등 공인인증서 없이 스마트폰으로 결제할 수 있는 간편결제 서비스가 거침없이 성장하고 있다. 간편결제는 공인인증서, OTP 없이 비밀번호나 지문만 입력해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는 신종 전자지급 서비스를 말한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18년 2분기 중 전자지급 서비스 이용현황’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실적은 하루 평균 363만건, 사용금액은 1,174억원이다. 전 분기보다 각각 26.0%, 17.4% 증가한 수치다.
간편결제 이용금액은 작년 2분기만 해도 567억원에 그쳤으나 매 분기 두 자릿수 증가율을 이어가고 있다. 규모도 1년 만에 2.1배 커졌고 이용 건수도 작년 2분기 187만건에서 1.9배 증가했다.
간편송금 이용실적은 간편결제보다 더 빠르게 불었다. 간편송금은 모바일 기기에 충전한 선불금을 전화번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활용해 바로 송금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간편송금 서비스 이용금액은 19.0% 증가해 911억원, 이용 건수는 25.5% 늘어난 132만건으로 알려졌다. 이용금액은 작년 2분기 276억원에서 1년 만에 3.3배가, 이용 건수는 같은 기간 2.3배가 된 것이다.
한편 전자지급결제대행(PG) 서비스 이용금액은 4,001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1.2% 늘었으며 이용 건수는 7.1% 증가한 803만건으로 집계됐다. PG는 전자상거래에서 구매자에게 받은 대금을 판매자에게 지급할 수 있도록 지급결제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비스로 온라인쇼핑이 활발해질수록 이용량이 늘어난다.
쿠팡, 인터파크 등 오픈마켓이 포함된 결제대금 예치 이용금액은 673억원, 건수는 145만건으로 각각 0.4%, 7.1% 올랐다. 오픈마켓 이용실적은 늘었지만 전 분기에는 대학 등록금 수납 등 계절적 요인이 발생했다. 이것이 사라지면서 증가세도 함께 사라진 셈이다.
선불교통카드, 토스 등을 아우르는 선불전자지급 서비스는 1,276억원, 1,668만건으로 각각 13.8%, 10.0% 증가했다. 개학 등 계절적인 요인으로 교통카드 중심의 이용실적이 늘어났다.
아파트 관리비 등을 이메일 등 전자 방식으로 발행해 대금을 직접 수수하고 정산을 대행하는 전자고지 결제서비스 이용은 줄었다. 해당 서비스 이용금액은 21.2% 감소한 254억원, 이용 건수는 5.7% 줄어든 15만건으로 아려졌다. 전 분기 발생한 겨울철 난방비 증가 등 계절적 요인이 사라지며 이용실적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직불전자지급 서비스 이용금액은 10.0% 감소한 879만원, 건수는 16.1% 증가한 468건이었다. 직불전자지급 서비스는 스마트폰에서 인증 절차를 거쳐 편의점 등 가맹점에서 이용할 때 이미 등록된 구매자 계좌에서 판매자 계좌로 자금 이체를 중개하는 서비스다. /이다원인턴기자 dwlee618@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