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자원공사는 수도 검침에 스마트 기술을 접목해 취약계층의 복지안전망을 구축하고 있다. 전국 23개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상수도를 위탁 운영하는데 대부분은 고령의 노인이 거주하는 농촌 지역이다. 인구 감소 및 급격한 고령화에 따라 복지 사각지대가 생길 수밖에 없는 곳이다. 수자원공사가 새로운 형태의 복지 서비스를 발굴한 이유다. 스마트 기술을 수도 검침에 접목해 독거노인의 특정 시간대 물 사용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위기 상황을 신속히 판단하고 있다.
수도는 전기나 가스와 달리 사용량의 변동 폭이 크다. 덕분에 다른 검침과 비교해 위기 상황을 더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오전5시에서 9시 사이, 오후5시와 11시에 물 사용량이 없다면 고독사 등 신변의 위험을 의심해볼 수 있다.
이 서비스는 지난해 경북 고령군에 처음으로 시범 도입됐다. 수자원공사는 올해 전남 장흥군, 경북 봉화군까지 140가구로 수혜 범위를 확대했고 앞으로 수자원공사가 관리하는 모든 사업장으로 늘릴 계획이다.
고독사 예방뿐 아니라 옥내 누수 수리, 청소·반찬 지원까지 복지 서비스의 지원 범위를 넓히고 있다. 수도 검침원이 현장에서 도움이 필요한 취약계층을 발견하면 지자체의 복지담당자나 수자원공사의 사회공헌 담당자에게 전달해 지원하는 식이다. 실제로 지난 9월 고령군 수도 검침 당시 취약계층 94가구를 지자체 복지과와 연결해주기도 했다.
수자원공사는 또 지자체와 지역주민, 수도 검침원 등 시민사회가 참여하는 ‘국민행복 디자인단’을 구성해 복지 서비스를 발굴·개선하는 정책실험실을 운영하고 있다. 수자원공사 관계자는 “수도 검침이라는 대민 서비스로 촘촘한 복지안전망을 구축함으로써 노인 등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있다”며 “‘사회안전망’ 서비스가 전국 단위로 확대될 경우 사회적 가치 창출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세종=정순구기자 soon9@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