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은 28일 행동주의 헤지펀드 관련 데이터 조사업체 액티비스트 인사이트의 연간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최근 적대적 경영개입이 급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행동주의 헤지펀드는 기업의 지분을 확보한 뒤 직접적인 경영 간섭을 통해 투자 수익을 극대화하는 투기 펀드다. 이들은 일정한 의결권을 확보한 다음 기업에 자산 매각과 배당 확대, 자사주 매입, 구조조정, 지배구조 개선 등을 요구하고 다른 투자자의 동조를 끌어내는 전략을 쓴다.
행동주의 글로벌 헤지펀드는 2013년 상반기 275개에서 올해 상반기 524개로 90%가량 급증했다. 공개적으로 경영에 개입했던 표적 기업도 2013년 570개에서 지난해 805개로 41%가량 늘었다. 여기엔 애플, P&G 같은 글로벌 기업도 포함돼 있다. 규모가 큰 기업에 대한 투자 비율이 높아지는 점도 특징이다. 시가총액 20억 달러 이상 기업 비중은 2016년 33%에서 2017년에는 36%로 높아졌다. 특히 아시아 권역에 기업을 겨냥한 경영개입 횟수는 2011년 10회에서 2017년 106회로 현저히 늘었다. 한경연은 “아직까지는 일본과 중국 기업에 집중돼 있지만, 엘리엇의 2015년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개입, 2018년 현대자동차그룹의 구조개편 개입 등 최근 사례를 볼 때 우리나라도 안심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한경연은 특히 집중투표제, 감사위원 분리 선출 등의 내용이 담긴 상법 개정안이 시행되면 헤지펀드의 공격에 더 노출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만큼 헤지펀드에 대비한 경영권 방어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유환익 혁신성장실장은 “최근 행동주의 헤지펀드의 공격적인 경영개입 성향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도 차등의결권, 포이즌 필 같은 경영권 방어 수단 도입을 본격적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경우기자 bluesquar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