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혼게이자이신문이 최근 웨이모가 자율주행 특허 경쟁에서 도요타자동차와 GM·포드·닛산자동차 등을 밀어내고 1위를 차지했다고 발표했다. 웨이모는 지난 2016년 구글이 자율주행차 개발 부문을 분사해 설립한 회사다. 불과 2년 전만 하더라도 도요타·GM·보쉬 등에 이어 5위였지만 이번 조사 때는 점수가 세 배 가까이 올랐다. 보유한 유효특허는 318건에 불과해 양적으로 도요타의 절반에 미치지 못했지만 도로 정보, 차량 움직임 등을 매 순간 식별해 차량을 제어하는 기술로 질적 평가에서 타 업체를 압도했다. 반면 한국 기업으로는 현대자동차가 35위에 이름을 올리며 체면치레하는 데 그쳤다. 현대차는 보유특허 건수 기준으로는 세계 10위였지만 고급특허 확보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평가됐다. 전기차·자율주행차 등 미래 자동차 산업으로 가는 변곡점에서 적신호가 들어온 것이다.
굴지의 완성차 업체마저 선두자리를 내줄 정도로 격동기를 맞고 있지만 한국 업체는 높은 인건비에 발목이 단단히 잡힌 형국이다. 신기술 개발 도입에 따른 고용불안을 우려한 노조가 반발할 움직임까지 감지돼 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제 국내 자동차 업계는 판매 부진으로 연구개발(R&D) 재원이 될 영업이익이 계속 쪼그라들고 있다. 현대·기아자동차의 판매 급감은 특유의 ‘가성비’를 잃어버렸기 때문이라는 견해가 적지 않다. 인건비가 매년 오르다 보니 자연스레 제품 품질 향상에 투입될 재원이 줄고 결국 경쟁력 하락으로 귀결되고 있다는 것이다.
국내 공장은 인건비 상승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매년 반복되는 노조 파업으로 직원 임금이 생산성 개선과 무관하게 뛰면서 원가 인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는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중을 보면 뚜렷이 드러난다. 지난해 기준 국내 완성차 4개 업체의 매출액 대비 임금 비중은 12.29%에 달한다. 일본 도요타 (5.85%)의 두 배가 넘는 수준이다.
높은 인건비 탓에 영업이익이 줄자 투자 여력도 달린다. 현대·기아차의 지난해 R&D 투자액은 37억달러로 도요타(95억달러)·폭스바겐(148억달러)·GM(148억달러)에 한참 못 미친다. 매출액 대비 R&D 비중 역시 2.8%로 선두인 폭스바겐(5.7%)의 절반 수준이다.
투자금액을 짜내더라도 노조 눈치를 봐야 한다. 임단협 41조는 신기술 도입, 신차종 개발, 차종 투입, 작업공정 개선, 전환배치, 생산 방식 변경 때 노사공동위원회를 구성해 심의 ·의결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신차의 개발·양산 때는 물론 작업공정이나 인력의 전환배치, 차종 이관 시에도 모두 노조와 협의를 거쳐야 가능하다는 얘기다. 사실상 ‘정치 임금’이 국내 완성차 업계의 현재 경쟁력과 미래 경쟁력을 갉아먹고 있는 셈이다. 현대차 노조는 최근 내부적으로 전기차 전용 라인이 들어설 가능성이 커졌다고 보고 대책 마련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전기차 전용 라인은 공정 자동화율과 모듈 조달 비중이 내연기관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경우 고용환경이 크게 흔들릴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전기차가 여전히 손익분기점을 넘기지 못하고 있어 자동화는 필수”라며 “단기적인 고용불안을 우려하다 더 큰 재앙을 맞게 될까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김우보기자 ubo@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