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도입한 알고리즘(전산 논리 체계) 기반의 뉴스 편집·추천 시스템이 사람이 개입할 수 없는 구조라는 검토 결과가 나왔다. 다만 검토 과정에서 뉴스를 생산하는 언론과 소비자의 참여가 배제돼 투명성과 신뢰성을 담보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학계 전문가로 구성된 ‘네이버 뉴스 알고리즘 검토위원회’는 2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6개월 동안 진행한 알고리즘 검토 결과를 공개했다. 검토위에는 위원장을 맡은 맹성현 카이스트(KAIST) 전산학부 교수 등 11명의 학계 전문가가 참여했다.
검토위는 우선 네이버의 뉴스 검색 부문과 관련해 “알고리즘을 통해 자동으로 결과를 배치하기 때문에 관리자(사람)의 개입은 원칙적으로 불가능한 구조”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네이버의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된 뉴스·콘텐츠 추천 서비스 ‘AiRS(에어스)’ 영역을 두고서는 “편집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뉴스 소비자의 자료를 수집해 학습하고 있다”면서 “개인의 기사 선호도와 품질 등을 고려한 추천 점수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이 쓰이는 것을 확인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검토위는 연예·스포츠 기사 추천 서비스에 대해서는 “일반 뉴스와는 매우 다르다는 특징을 고려해 추천이 이뤄지고 있다”는 검토 결과를 내놓았다.
검토위는 “알고리즘을 통한 뉴스 서비스 편집·추천 기능의 자동화는 공정성과 신뢰성 문제의 해결을 위한 효율적인 대안으로 평가된다”며 “이번 시도는 세계 최초로 이뤄진 것으로 매우 고무적”이라고 평가했다.
알고리즘 검토는 지난해 네이버 스포츠 담당자가 특정 집단의 청탁을 받고 자의적으로 기사를 배치한 사건이 공개되고 올해 초 더불어민주당 당원인 ‘드루킹’의 정치 댓글 조작 혐의가 드러난 것을 계기로 포털 뉴스 서비스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전반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가 분출하며 이뤄졌다. 이후 네이버는 지난달 모바일 대문 화면에서 사람이 편집한 뉴스 7개와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를 제외하고 검색창 등의 필수 메뉴만 남기는 개편을 추진했다.
다만 검토위가 알고리즘으로만 검토 대상을 한정하면서 기사를 직접 올리는 언론과 이를 읽는 사용자의 의견이 반영되지 못하고 기술적 검증에만 초점이 맞춰진 것은 아쉬운 대목으로 꼽힌다. 맹 교수는 “알고리즘을 통한 자동화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완전한 해답은 아닐 것”이라면서 “대신 투명성과 공정성에 해가 될 수 있는 요소를 꾸준히 걸러내는 작업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지민구기자 mingu@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