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A카드사의 한 카드 상품 발급 갱신 문제와 관련해 민원을 여러 차례 접수 받았다.
이 카드는 이미 단종돼 신규 발급이 불가능하지만 기존 회원은 유효기간이 끝날 경우 갱신이 가능했다. 하지만 지난달 A카드사는 이달부터 기존 회원이 카드 갱신을 할 수 없도록 내부 규정을 바꿨다. 이 카드는 항공 마일리지 적립에 특화된 상품으로 카드사에 적자를 초래할 정도로 혜택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직장인 박모씨는 “내년 초에 카드 유효기간이 끝나 3달 전쯤 갱신을 할 수 있느냐고 물었을 때만 해도 콜센터에서 가능하다고 답변이 왔는데 최근 갑자기 갱신이 불가능하다고 통보가 와 당황스럽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B카드사는 올 하반기 일회성 이벤트를 줄이기 위해 레스토랑 할인 이벤트를 열지 않기로 했다. 이 이벤트는 카드사가 직접 선택한 유명 레스토랑을 카드 포인트 결제를 통해 절반 가격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통상 매년 상·하반기 두 번씩 열렸다. 이 때문에 재테크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B카드사의 이번 결정이 아쉽다는 반응이 잇따랐다.
다른 카드사도 단종 카드나 일회성 이벤트에서 발생하는 비용부터 줄이는 등 마케팅 비용을 감축하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카드사의 마케팅 비용이 2014년 4조1,142억원에서 지난해 6조724억원, 올 상반기 3조2,459억원으로 증가하고 있어서다. 겨울철 스키장 리프트 요금과 여름철 워터파크 입장권 할인 등 특정 시즌을 맞아 선보이는 할인 서비스 또한 향후 폐지될 고객 혜택 1순위로 꼽힌다. 이 같은 일회성 마케팅 비용은 금융 당국의 승인을 거치지 않아도 없앨 수 있다. 카드 업계 관계자는 “보통 이맘때쯤이면 연말이나 설날 등을 앞두고 추가 할인을 해주는 이벤트 등을 기획했는데 올해부터는 그럴 여력이 없다”고 전했다.
문제는 금융 당국이 카드 수수료 인하의 후속 작업으로 포인트 적립, 할인, 무이자할부 등 부가서비스를 줄일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하기도 전에 고객 반발이 곳곳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정부는 지난달 말 우대 수수료율 적용 구간을 기존 연 매출 5억원 이하에서 30억원 이하로 대폭 확대하는 내용을 담은 ‘카드 수수료 개편방안’을 발표했다. 당장 내년 1조4,000억원 규모의 실적 감소가 예상되는 카드사들은 부가서비스 의무 유지 기간을 3년에서 1년으로 줄여달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금융위원회도 금융감독원과 카드업계, 관련 분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카드산업 건전화 및 경쟁력 제고 태스크포스(TF)’를 이번주 발족시켜 내년 1월까지 부가서비스 축소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카드 업계의 한 고위 관계자는 “소비자의 피드백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업종이 카드 산업”이라며 “금융 당국이 부가서비스를 확 줄일 수 있도록 제도를 바꾼다고 해도 어느 한 카드사가 나서기 전에는 쉽게 움직이기 어려울 것”이라고 꼬집었다.
/김기혁기자 coldmeta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