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 23
prev
next
내년 7월부터 태풍 이동 경로와 국지성 집중호우 등 기상 관측이 보다 정확해질 전망이다. 중국에서 몰려오는 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도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상관측위성 ‘천리안 2A호’(정지궤도위성)가 유럽 아리안스페이스의 아리안-5 발사체에 실려 5일 오전 5시 40분께(한국 시간) 프랑스령 기아나의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발사되기 때문이다. 천리안2A호는 지구에서 3만6,000km 상공에서 기상관측 업무를 맡아 시험기간을 거쳐 내년 7월부터 본격 가동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와 기상청은 2일 “천리안 2A호가 50여 일간 기능점검, 연료주입, 발사체 조립 등 사전 작업을 모두 완료하고 발사대기 상태”라며 “발사 34분 뒤 위성은 발사체에서 분리되고 발사 40분 뒤에는 호주 동가라 지상국과 최초로 교신하게 된다. 발사 뒤 한 달쯤 지나 정지궤도에 안착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천리안2A호는 10년 간 지구와 우주 기상 관측 활동을 하며 고화질 컬러 영상을 10분마다 보내온다. 천리안 1호의 영상보다 해상도가 4배나 더 높다. 무게가 3,517kg에 달해 발사비용이 700억~800억 원에 달한다. 과기정통부 측은 “국지성 집중호우의 발달도 관측할 수 있어 최소 2시간 전에 이를 탐지할 수 있다”며 “태풍 이동 경로 추적 정확도가 높아지며 태양 흑점 폭발 등 우주기상 관측 정보도 받을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소가 개발한 과학연구 위성 ‘차세대 소형위성 1호’(100kg급)는 4일 새벽(한국시간) 미국 반덴버그 공군 기지에서 스페이스X 발사체에 실려 발사된다. 324억 원이 투입된 이 위성은 앞으로 2년간 575㎞ 상공에서 태양폭발에 따른 우주 방사선 등을 측정하고 별의 적외선 분광을 관측한다. 여러 부품이 우주 환경에서 견디는지도 검증하게 된다.
스페이스X는 이번에 처음으로 1단 추진체(팰컨-9)를 세 번째로 사용하게 되는데 당초 지난 20일 발사하려다가 29일, 12월 2일에 이어 3일로 각각 연기했다가 4일에 발사하기로 했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