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 가계부채가 7년간 90조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계부채에 따른 원금상환과 이자 납부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서울 시민이 10명 중 6명이나 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4일 서울연구원의 ‘서울시 가계부채 진단과 정책방향’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행 통계를 분석한 결과 서울지역 가계부채는 예금취급기관 대출 기준으로 2010년 195조원에서 2017년 285조원으로 90조원 늘어났다. 이 중 주택대출은 125조원에서 177조원으로 증가했다. 증가분의 절반 이상인 52조원을 주택대출이 차지한 것이다.
가계부채는 크게 예금취급기관 및 기타 금융회사 대출, 판매 신용으로 구분되지만 한국은행이 지역별 판매신용과 기타 금융사 자료를 제공하지 않아 예금취급기관 대출만 분석했다고 서울연구원은 밝혔다.
서울 가구의 2017년 평균 자산은 5억3,576만원, 부채는 9,764만원으로 파악됐다. 전국 평균(자산 3억8,164만원, 부채 7,022만원)을 크게 웃도는 값이다. 서울 가계대출이 지역 내 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기준 74.1%로 전국 평균 55.3%보다 18.8%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서울은 가계부채가 지역 내 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커 금리가 인상되면 타 지역보다 영향이 더 클 것”이라고 예측했다.
연구원 분석 결과 서울 가계부채가 1% 증가하면 소득은 0.26% 줄어들고, 대출금리가 1% 늘면 가계부채는 0.01% 늘어났다. 가계부채 증가와 함께 서울 시민의 부담도 커지는 것이다. 서울연구원이 작년 4∼5월 19세 이상 서울 시민 1,000명(가구)을 대상으로 표본 조사한 결과 부채 보유 가구의 63.0%는 원금상환과 이자 납부가 부담된다고 답변했다. 부담이 없다는 응답은 11.3%, 보통은 26.0%로 나타났다.
부담된다는 응답은 월 소득이 적을수록 많았다. 부채 비중을 살펴보면 담보대출이 41.0%로 가장 많았고, 신용대출이 23.6%로 그 뒤를 따랐다.
보고서는 “서울시는 상대적으로 부채보다 자산 규모가 커 부채 대응력은 (타 지역보다) 괜찮지만, 한계가구로 인한 문제는 지속해서 제기될 것”이라며 서울시에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이어 “서울시가 2012년 가계부채 위기관리 종합대책을 발표한 이후 6년 동안 종합대책이 없었다”며 “서울시는 부동산 등 거시적인 부문보다 한계가구와 영세자영업자 등의 가계부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구체적 방안으로는 가계부채 전담부서 설립, 자치구당 1곳 이상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 설치, 찾아가는 가계부채상담센터(가칭) 운영 등이 제시됐다.
/이다원 인턴기자 dwlee618@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