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생명보험사들이 최근 수년간 급격히 늘려온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이 ‘미운 오리’로 전락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의 규제로 보험약관 대출 등 가계대출이 막히고 운용자산 수익률이 떨어지면서 PF 대출로 눈을 돌렸는데 부동산 시장 호황 때는 고수익을 가져다줬지만 이제는 부실 우려를 키우는 ‘미운 오리’가 됐다는 것이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교보생명은 지난해 11월 말 기준 PF 대출을 포함한 중소기업 대출잔액이 6조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0% 급증했다. 삼성생명은 9조9,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6% 증가했다. 대형사뿐만 아니라 신한생명과 미래에셋생명 등 중형사도 전년 대비 각각 20~50% 증가했다.
생보사들이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은 PF 대출을 확대한 것은 저금리 장기화로 운용자산의 수익률이 개선되지 않은데다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로 약관대출 등이 막히면서다. 실제 국내 생보사의 평균 운용자산수익률은 지난 3·4분기 3.4%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약 0.2%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PF 대출 등은 수익률이 연 10%에 육박할 정도로 고수익을 가져다준 효자 역할을 톡톡히 했다. 특히 태양광 사업이 뜨면서 국내 생보사들의 대출이 집중된 것으로 알려졌다. PF 대출 한도에 규제를 받고 있는 저축은행과 달리 생보사는 태양광 사업 등에 전체 사업비의 90% 이상을 대출할 수 있어 수요가 몰렸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부동산 PF 대출이 당장의 수익률 제고에는 도움이 됐지만 정부의 잇단 부동산 규제 대책으로 연체율 상승 등 건전성에 대해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생보사 중기대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부동산 PF가 올 들어서는 부동산 시장의 침체로 위축되고 기존 대출도 원리금 상환 연체 등으로 대손충당금을 더 쌓아야 하는 상황에 몰릴 수 있다”고 말했다. 신회계기준(IFRS17) 도입으로 자본확충 압박이 커지는 상황에서 추가적인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생보사의 부동산 PF 대출은 한도 규제 등 모범규준이 없어 느슨하기 때문에 부실이 현실화되면 충격이 커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생명보험협회와 손해보험협회는 지난해 공통된 모범규준을 만들기로 했지만 공정거래위원회와 금융위원회 간 이견 등으로 지금까지 도입되지 않고 있다.
/박진용기자 yongs@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