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부터 금융거래 이력이 부족한 주부나 사회초년생도 은행 대출을 받기가 쉬워진다.
금융감독원은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이 올 하반기부터 통신정보 등 개인의 비금융정보를 활용한 신용등급 재평가 절차를 도입한다고 2일 밝혔다.
이에 따라 금융거래 이력이 부족해 은행 대출이 제한됐던 사회초년생·주부·고령층 등 금융소외계층의 은행 대출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통신정보를 활용한 신용도 재평가 시 기존에 대출이 거절된 금융소외계층 71만명 중 약 20만명이 은행권 대출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금감원은 분석했다.
그동안 국내 은행은 신용평가에서 활용할 수 있는 비금융정보(통신, 휴대폰 소액결제, 온라인쇼핑 거래 등)가 늘어남에도 금융정보(여수신·카드실적·연체이력 등) 중심으로 평가해왔다. 신용도가 좋아도 금융거래 이용 경험이 부족한 금융소외계층은 신용평가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다. 실제 사회초년생 등 금융소외계층은 신용도가 차등화되지 않고 대부분(93%) 중위등급(CB 4~6등급)을 부여받았다. 신용평가 시점 기준으로 최근 2년 내 신용카드 사용 이력 및 3년 내 대출 경험이 없는 금융이력 부족자는 지난해 9월 말 기준 1,303만명에 달한다.
이에 금감원은 비금융정보를 활용한 재평가절차를 도입해 금융소외계층이 은행대출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개선했다. 올 상반기까지 금융거래 이력 부족으로 대출이 제한되면 비금융정보를 활용해 신용도를 재평가하고 대출 가능 여부를 재심사한다. 이어 재평가 절차를 은행의 여신심사 단계에 흡수해 일반인과 동일하게 여신심사 과정에서 신용도를 평가하도록 했다.
올 하반기까지 재평가 결과가 대출승인과 금리·한도 등에 차등 반영될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하고 거래 고객이 많은 5대 시중은행부터 적용할 방침이다. /서민우기자 ingaghi@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