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1일 미국 제약사 바이오젠이 일본 에자이와 공동개발해온 알츠하이머 신약인 ‘아두카누맙’의 임상 3상 시험을 중단한다고 발표하자 전 세계 제약업계는 큰 실망감에 휩싸였다. 글로벌 빅파마들이 치매 신약개발에서 줄줄이 고배를 마시는 상황에서 ‘아무카누맙’이 새로운 구세주가 될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과는 처참했다. 바이오젠은 “초기 임상시험에서 고무적인 결과가 나와 3상 임상에서 2건의 임상시험을 동시에 진행해 왔지만 성공 가능성이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며 “임상시험 자료 모니터링 위원회가 임상시험 성공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무용성 평가를 내렸다”고 밝혔다. 바이오젠의 임상 시험 중단 발표 직후 미국 뉴욕증시에서 바이오젠 주가는 29.23% 주저앉았고 180억달러에 달하는 시가총액은 단숨에 증발해 버렸다.
고령화로 인해 치매 치료에 대한 수요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이 줄줄이 치매 신약 개발에 실패하면서 치매 치료가 미지의 영역에 들어가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막대한 연구개발(R&D) 비용을 무기로 치매 치료제 개발에 나섰던 글로벌 제약사들마저 고배를 마시면서 국내 제약사들마저 치매 치료제 개발에 대한 의욕을 점차 잃어가는 실정이다.
7일 국제알츠하이머병협회(ADI)에 따르면 세계 치매치료제 시장 규모는 지난 2015년 3조5,000억원 수준에서 오는 2024년 13조5,000억원으로 약 4배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 세계가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치매 인구가 급격하게 늘어날 것으로 점쳐지기 때문이다. 문제는 치매를 근원적으로 낫게 하는 치료제가 아직 없다는 점이다. 그동안 글로벌 제약업계에서는 바이오젠의 ‘아두카누맙’이 치매 치료의 비밀을 푸는 열쇠가 되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에 부풀어 있었다. 아두카누맙은 초기 임상시험에서 치매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뇌 신경세포 표면의 독성 단백질인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제거할 뿐 아니라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나타났었기 때문이다. 그동안 머크, 일라이 릴리, 아스트라제네카, 존슨 앤드 존슨과 같은 내로라하는 제약회사들 모두 베타 아밀로이드를 표적으로 하는 치매 신약 개발에 나섰지만 임상 시험에서 모두 실패한 바 있다. 지난 1월 스위스의 제약 회사 로슈 역시 베타 아밀로이드를 타깃으로 한 치료제 ‘크레네주맙’의 임상 3상을 시험을 중단했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알츠하이머병을 가진 환자의 유전적 특징이나 임상경과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제대로 된 증상을 타깃으로 하는 치료제가 개발되기 어렵다고 입을 모은다. 정확한 발병 원인을 알 수 없다는 설명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지금까지 치매 치료제에 대한 글로벌 연구는 신경세포를 죽이고 인지기능을 떨어뜨리는 베타 아말로이드를 타깃으로 진행돼 왔다”며 “하지만 치매를 일으키는 원인 자체도 분명하지 않다는 게 드러난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업체의 치매 신약개발도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국내 제약사들은 바이오의약품 대신 대추와 당귀 등 천연물 성분으로 치매 신약 개발에 나서고 있지만 아직 걸음마 단계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치매 치료제 신규 임상 건수는 2014년 10건에서 2015년 13건으로 소폭 늘어나다가 지난해 3건으로 쪼그라들었다. 그나마 2건은 글로벌 제약사 로슈였고 국내 회사는 메디포럼 1건에 불과했다. 업계 관계자는 “치매 치료제는 일단 후보 물질을 발굴하는 것 자체가 어렵고 동물 임상까지 가기도 전에 실패하는 게 대부분”이라며 “자본력이 풍부한 글로벌 제약사들도 줄줄이 고전을 면치 못하는 상황에서 국내 제약사들이 이를 따라잡기는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