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한중 간 구성하기로 한 고위 정책협의체를 가장 획기적인 성과라고 역설했다. 조 장관은 “(한중 고위 정책협의체는) 양국이 각국의 실증에 맞는 미세먼지 저감 정책을 함께 공유하는 개념”이라며 “희망컨대 향후 차관이나 장관, 혹은 총리급 협의체로 이어졌으면 하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오는 11월 ‘동북아 장거리 대기오염물질(LTP)’ 연구 보고서가 발간되면 중국발 미세먼지가 국내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인 자료로 입증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해당 보고서는 지난해 발간이 예정돼 있었지만 중국 측에서 보고서 내 미세먼지 관측 자료가 너무 오래됐다는 이유로 한 차례 연기된 바 있다. 조 장관은 “한중일 간의 월경선 대기오염이 어떻게 이뤄지는지에 관한 객관적인 분석을 진행하고 각국의 환경 장관 합의 후 보고서가 발간될 것”이라며 “3개국 공동연구 보고서인 만큼 실질적인 데이터가 나올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나 중국발 미세먼지의 영향을 얼마나 입증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그는 “우리 국민들이 생각하는 것만큼 (중국발 미세먼지 수치가) 높지 않을 수는 있지만 중국의 영향이 꽤 될 것”이라며 “보고서가 발간된 후 분석 결과를 봐야 수치가 나올 것”이라고 했다.
그는 동북아가 열린 하늘을 공유하는 ‘호흡공동체’라는 점도 강조했다.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노력이 한중 간에만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동북아 국가 전체가 함께 자발적으로 미세먼지를 감축해 나가야 한다는 의미다. 조 장관은 “장기적으로는 우리나라와 중국에 러시아·북한·일본·몽고 등을 더해 동북아 6개국이 참여하는 다자 간 협력체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지난해 10월 출범한 동북아 청정대기 파트너십을 조금 더 공식적인 협의체로 격상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정순구기자 soon9@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