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들의 오토론 연체율이 처음으로 1%를 넘어섰다. 오토론은 새 차와 중고차를 살 때 대출을 일으키는데 대부분의 차주가 경제적 기반이 취약한 사회 초년생이거나 저신용자 등이어서 경기침체의 여파를 직접 받아 가장 먼저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14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종석 자유한국당 의원실에 제출한 ‘국내 은행 자동차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국 16개 시중은행의 오토론 잔액 5조7,447억원(이하 2월 말 기준) 중 연체대출채권 잔액은 619억원으로 전체 연체율이 1.08%를 기록했다. 지난 2016년 0.45%로 신용대출 수준의 양호한 연체율을 기록했던 시중은행 오토론은 지난해를 기점으로 중고차 오토론 규모가 빠르게 늘면서 전체 연체율도 급등하기 시작했다. 특히 2016년 0.62%였던 중고차 오토론 연체율은 최근 2%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올 들어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연체율이 0.4~0.6% 수준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오토론 부실 규모는 심각한 상황이다.
은행별로는 오토론 점유율 1위인 신한은행이 1.41%로 4대 시중은행 가운데 가장 높았고 KB국민은행(0.96%)과 KEB하나은행(0.96%)도 연체율이 1%를 육박했다. 지방경기 부진의 직격탄을 맞은 지방은행의 오토론 연체율은 더 심각하다. 광주은행은 1.93%로 전체 은행 중 가장 높았고 부산은행도 1.24%로 올해 처음 1%대에 진입했다.
오토론 연체율이 증가하는 것은 차주 대부분이 경제적 기반이 취약한 사회 초년생이거나 저신용자여서 경기가 침체되면 가장 먼저 원리금 상환에 차질이 발생한다. 차주들이 조선·자동차 산업 등의 구조조정에다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일자리를 잃으면서 원리금 상환마저 어려워지자 시중은행 오토론 연체율 증가로 나타난 것이다. 특히 차주가 부실이 나더라도 은행은 보증보험을 통해 대출금을 회수할 수 있어 신용등급을 따지지도 않고 ‘묻지마식’ 대출을 해주는 바람에 연체율 상승을 키웠다는 지적이 나온다. 은행이 부담해온 보증료 역시 대출금리에 전가해 차주가 부담하기 때문에 은행은 수수료 차익만 챙기면 되는 간단한 구조다. 이렇다 보니 카드·캐피털의 전유물이던 오토론 시장에 시중은행이 공격적으로 뛰어들면서 부실을 재촉했다는 것이다. 실제 최근 3년 사이 시중은행이 취급하는 오토론 잔액은 4배 이상 급증했다.
특히 중고차 오토론의 연체율이 크게 오른 게 전체적인 오토론 연체율을 끌어올렸다는 분석이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8월 이후 중고차 오토론 규모가 신차 오토론을 뛰어넘을 정도로 파이를 키웠지만 중고차 오토론 연체율은 2.13%로 부실이 커지고 있다. 같은 기간 하나(2.12%)·국민(1.86%)도 2% 안팎까지 연체율이 껑충 뛰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오토론 이용층이 경제적 기반이 취약하거나 저신용자들이 대부분인데 경기 부진으로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오토론 연체율 상승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은행들이 보증서만 믿고 무분별하게 대출을 해주다 보니 상환능력이 취약한 저신용자나 젊은 층이 대출을 너무 손쉽게 받는다”며 “시장 교란 요인이 있다고 보고 연체율 추이 등을 유심히 보고 있다”고 경고했다. /서은영·양지윤기자 supia927@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