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세대(5G) 품질 불만이 잇따르자 정부와 이동통신업계가 서비스 가능지역(커버리지) 확대 일정을 계획보다 앞당기기로 했다. 이달 초만 해도 ‘이용자도 5G 커버리지 상황을 알고 가입했다’며 뒷짐 지더니 예상보다 거센 항의에 부랴부랴 대책을 급조했다. 5G 일반 개통을 시작한 지 불과 20일만으로, 한치 앞을 내다보지 못하는 당국을 질타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23일 이통사, 제조사 등과 ‘5G 서비스 점검 민관합동 TF’ 첫 회의를 열고 이같이 논의했다고 24일 밝혔다. 이통 3사는 연내 기지국 장치 수를 23만개로 늘려 전체 인구의 93%가 살고 있는 전국 85개시 동(洞) 단위 주요지역까지 5G 커버리지를 확대하기로 했다. 지난 22일 기준 이통3사의 5G 기지국은 5만512개, 장치 수는 11만751개다. 또 수도권 1~9호선 지하철은 이통 3사가 공동으로 설비를 구축·활용해 개통 시점을 당기고 공항이나 대형 쇼핑몰 등 전국 120여개 빌딩 내에서도 이르면 6월부터 5G 서비스를 제공한다. 과기정통부의 한 관계자는 “이통사들이 애초 계획한 망 구축 일정을 바꿔 5G 서비스를 조기에 안정화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통신 가입자 약관에는 커버리지 정보제공 의무를 담고, KT와 SK텔레콤에 이어 LG유플러스가 오는 27일께 커버리지를 홈페이지에 공개한다. 이통사는 대리점과 판매점이 고객들에게 커버리지를 제대로 알리는 지 관리·감독도 강화하기로 했다. 5G 속도를 높이기 위해 롱텀에볼루션(LTE) 망을 같이 활용하는 등 네트워크 최적화 작업도 추진한다.
정부와 업계가 지난 5일 5G 일반 상용화 이후 3주 만에 긴급 대책을 내놓았지만 이용자들의 불만은 잦아들지 않고 있다. 초기 품질 논란을 예상하면서도 무리하게 상용화를 추진하며 초기 가입자를 ‘얼리어답터(유행선도자)’가 아닌 ‘베타테스터(시제품점검자)’로 만들었다는 반응이다. 5G 가입 시 ‘커버리지가 불완전하다는 내용을 확인했다’는 동의서만 만들어놓고 정부·업계가 책임을 회피했다는 지적도 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이용자가 품질과 커버리지를 잘 살펴보고 가입해야 한다”며 “다만, 판매자가 이를 제대로 안내하지 않았다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 5G 가입자는 “동의서에 서명은 했지만, 지금은 5G를 아예 이용하지 못하는 정도”라고 말했다.
/임진혁기자 libera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