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년간 글로벌 금융시장은 주요2개국(G2)인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에 따라 높은 변동성을 보였다. 지난해 3월 시작된 무역전쟁은 12월1일 G2 정상이 90일간의 시간을 두고 협상을 진행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무역협상 국면으로 전환됐다. 고위급 협상단이 정해진 협상 기간을 넘기면서 11차례의 협상을 통해 이견을 좁히고 합의 일보 직전에 이르자 올해 글로벌 주식시장은 호황 국면을 맞았다. 최종 문안 작성단계에서 중국이 합의 사항의 상당 부분을 철회하며 파국의 실마리를 제공했고 미국은 이달 10일 선적된 2,0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이에 중국은 오는 6월1일부터 600억달러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에 5~25%의 관세를 물리기로 해 무역협상은 무역갈등 국면으로 전환됐다.
국면이 전환된 핵심 이유는 미국의 지적재산권 보호에 대한 법률개정 요구와 보조금 지급 중단 요구를 중국이 거부한 데 있다. 지적재산권 보호와 기술탈취 건에 대해서는 큰 틀에서 합의를 이뤘지만 시행과정에 나타난 이견으로 간격을 좁힐 여지는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보조금 지급 중단의 사안은 중국의 산업발전 구조상 받아들이기 힘든 요구로 판단된다. 이 안건은 중장기 로드맵을 설정하고 시간을 두고 해결해야 할 이슈로 보인다.
무역갈등이 확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금융시장은 지난해와 달리 이성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주식시장보다는 채권시장과 외환시장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장기금리가 하락하고 달러 강세가 이어졌다. 주식시장은 지난해 무역전쟁 국면에서 받았던 충격에 비해 강도가 약하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의 무역갈등은 협상을 마무리하기 위한 과정에서 나타난 것으로, 파국보다는 협상을 계속할 가능성이 높고 지난해 무역전쟁을 통해 경험해본 사안으로 금융시장이 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 무역전쟁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도 마련돼 있다. 무엇보다도 무역전쟁이 지속될 경우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클 뿐 아니라 양국 정상은 지난해 4·4분기 글로벌 금융시장에 나타난 충격 요인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파국으로 가지는 않을 것으로 투자자들은 기대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내년 재선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내년 ‘샤오캉(小康)사회’ 건설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경제회복이 필수 요소인 만큼 완전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선에서 타협을 할 것으로 판단한다. 다만 기술패권과 환율전쟁은 합의가 어려운 사안으로 수면 아래에서 장기적인 위험변수로 작동할 수 있다. 최종 합의를 위해서는 양국 정상의 노력과 의지가 필수적이며 6월 말 일본에서 있을 주요20개국(G20) 회담이 갈등봉합의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과정에서 주가 변동성은 불가피하게 나타날 것으로 본다. 그러나 실물금리가 낮은 수준에 있고 중앙은행들도 유동성 완화로 정책변화를 시도할 가능성이 높으며 경기 펀더멘털 요인이 개선되고 있다는 점 등을 생각해보면 하락폭은 크지 않을 것이다. 올해 1·4분기 실적을 토대로 실적개선이 지속될 기업과 정부 정책의 수혜를 입는 업종에 선택·집중하는 전략이 유리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