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부동의 인기 상품인 수입맥주의 소비자 선호도가 국가별로 크게 변화하고 있다.
20일 편의점 CU가 최근 5년간 국가별 맥주 매출 비중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이던 일본 맥주의 입지가 흔들리고 중국 맥주가 급부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에는 아사히의 인기에 힘입은 일본 맥주의 매출 비중이 전체 수입맥주 중 38.1%를 차지했지만 올해 1∼5월에는 그 비중이 27.5%로 10%포인트 이상 감소했다. 국가별 매출 순위에서는 여전히 1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위상에 타격을 입었다.
반면 칭따오를 앞세운 중국 맥주는 인기를 얻고 있다. 2014년까지만 해도 매출 비중이 4.9%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10.2%로 2배 이상 뛰며 매출 순위 3위를 기록했다. CU에 따르면 ‘양꼬치엔 칭따오’라는 유행어가 생길 정도로 최근 몇 년간 양꼬치, 마라탕, 꿔바로우 등 중국 음식이 소비자들 사이에 인기를 끈 것이 중국 맥주의 선호도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2위 자리를 꾸준히 지켜오던 네덜란드 맥주는 매출 비중이 10.3%에서 9.8%로 감소하며 4위로 내려앉았고, 기존 4위였던 벨기에 맥주는 9.9%에서 14.0%로 약진하며 2위로 올라섰다. 2014년에는 10위권 밖이었던 프랑스 맥주는 부드럽고 달콤한 과일 향 맥주로 유명한 ‘크로넨버그 1664 블랑’을 앞세우며 매출 순위가 5위까지 올랐다.
버드와이저, 밀러 등 1세대 수입맥주로 인기를 끈 미국 맥주는 2014년 매출 비중이 10.2%였지만 올해는 6.8%로 감소했다.
CU에서 2014년 지역별 수입맥주 매출 비중은 아시아(43.0%), 유럽(36.8%), 북미(10.2%), 기타(10.0%) 순이었지만, 올해는 유럽(49.8%), 아시아(41.4%), 북미(6.8%), 기타(2.0%) 순이었다. BGF리테일 관계자는 “수입맥주 4캔에 1만원 행사가 편의점의 대표 행사로 자리매김하면서 관련 상품 수 역시 5년 전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했고, 국가별 맥주 선호도에도 상당한 변화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김민주 인턴기자 min0704@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