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디스플레이 화학소재, 정밀기기, 섬유 등 한국 소재 기업들의 연구개발(R&D) 비용 지출이 일본 기업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일본의 수출 제한을 계기로 정부와 산업계가 국산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반도체·디스플레이 화학소재 기업들의 평균 R&D 비용은 일본 기업의 40분의1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25일 지난해 한국 2,787개, 일본 7,330개 등 한일 부품소재 기업 1만117개를 분석한 결과 소재 부문의 경우 일본 기업의 평균 R&D 비용이 한국 기업보다 1.6배 많았다고 발표했다. 특히 1차 금속제품의 경우 일본 기업의 R&D 비용이 5.3배나 많았으며 섬유는 5.1배, 화합물 및 화학제품은 3.1배 많았다. 부품 분야의 경우 한국 기업의 R&D 비용이 일본 기업보다 2.6배 많았으나 이는 반도체 착시 효과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 전자부품 기업들의 평균 R&D 비용이 일본 기업에 비해 8.2배 많은데 이는 전자부품 업종 전체 R&D 비용의 96.7%를 차지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때문이라는 것이다. 반도체를 제외하면 일본 전자부품 기업들의 평균 R&D 비용은 오히려 한국 기업보다 3.7배 높게 나타나며 전체 부품 기업들의 평균 R&D 비용도 한국 기업보다 1.6배 많다. 정밀기기 부품의 경우 일본 기업들의 평균 R&D 비용이 한국 기업보다 일곱 배나 많다.
특히 최근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로 정부와 산업계가 육성에 박차를 가하는 반도체·디스플레이 화학소재 기업의 R&D 비용은 일본에 비해 크게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 기업(118개)의 평균 R&D 비용은 2,860만달러로 한국 기업(287곳)의 평균 R&D 비용 70만달러보다 40.9배나 많았다.
유환익 한경연 혁신성장실장은 “한국의 부품·소재 산업은 반도체 쏠림이 심한 반면 화학이나 정밀부품 등 다른 핵심 소재·부품에서는 갈 길이 멀다”며 “우리에게 부족한 핵심 부품·소재의 R&D에 대한 꾸준한 지원과 화평법·화관법 등 화학물질 관련 규제 및 노동 관련 규제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고병기기자 staytomorrow@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