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광모 LG 회장이 계열사 소재·부품·장비 산업 연구개발(R&D) 현장을 잇달아 방문하며 미래 부품소재 산업 육성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구 회장은 29일 대전 LG화학(051910) 기술연구원을 방문해 3세대 전기차용 배터리, 차세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핵심기술 등 LG화학이 개발하고 있는 3대 핵심 과제를 집중 점검했다. 구 회장은 이날 “핵심 소재·부품의 경쟁력 확보가 LG의 미래 제품력을 강화하고 성장동력을 만들어내는 근간이며 도전적인 R&D로 소재·부품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며 힘을 실어주기도 했다. 구 회장이 소재·부품·장비 R&D 현장을 방문한 것은 지난달 LG전자의 평택 소재·생산기술원은 찾은 데 이어 두 번째다.
이날 구 회장이 찾은 LG화학 기술연구원은 △3세대 전기차용 배터리 △솔루블유기발광다오이오드(OLED) △메탈로센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등 LG그룹의 미래를 위한 핵심 소재와 부품을 개발하는 곳이다. 3세대 전기차용 배터리는 한 번 충전으로 500㎞ 이상 주행 가능한 배터리로 현재의 2세대(320㎞ 이상 ~ 500㎞ 미만) 수준을 넘어 내연기관 자동차와 대등한 주행거리를 갖출 수 있는 제품이다. 이 제품은 전기차 시대를 본격적으로 앞당길 게임 체인저로 평가받고 있으며 내년부터는 3세대 전기차 시장이 본격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또 솔루블 OLED는 현재 LG가 주도하고 있는 OLED 시장에서 LG의 경쟁력을 한층 높여줄 수 있는 기술로 꼽힌다. 솔루블 OLED는 제조 시 기존 증착 방식과 달리 용액 형태의 유기물질을 직접 패널에 분사해 만들기 때문에 생산 원가를 낮추고 양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앞서 LG화학은 지난 4월 솔루블 OLED 개발을 위한 핵심 역량을 갖추기 위해 듀폰사로부터 기술과 연구·생산설비 등의 유무형자산 일체를 인수한 바 있다. 이 같은 인수합병(M&A)도 구 회장 취임 이후 LG의 달라진 면모다. 그간 LG그룹은 M&A에 적극적이지 않다는 이미지가 강했으나 구 회장 취임 이후로는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해 M&A에 적극적이다. 또한 메탈로센 POE는 LG화학 등 전 세계 5개 화학사가 제조 기술을 가진 메탈로센계 촉매 기술 적용 플라스틱 합성수지다. 메탈로센 POE는 가공성이 뛰어나고 충격강도와 탄성이 우수해 자동차 내외장재 및 범퍼의 충격 보강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태양광 패널의 봉지재 등으로 사용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LG화학은 메탈로센 POE와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의 확대를 통해 최근 빠르게 치고 올라오는 중국의 석유화학 업체들과 차별화에 나설 계획이다.
구 회장은 이날 R&D 과제별 책임자들을 직접 만나 개발 현황과 전략 등을 점검하는 한편 앞으로 소재·부품·장비 육성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그는 “미래 R&D 과제를 제대로 선정하고 역량을 집중하는 것이 고객 최우선 경영활동의 출발점”이라며 “진정으로 고객 가치를 혁신할 수 있는 도전적인 R&D 과제, 또 고객과 시장의 트렌드 변화를 철저히 반영한 R&D 과제를 선정해서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최근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육성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R&D 성과는 국내 소재·부품의 경쟁력 강화는 물론 전방산업의 공급망 안정화에도 직결되는 만큼 자긍심을 갖고 R&D에 임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앞서 구 회장은 지난달에도 LG전자 소재·생산기술원을 방문해 다양한 지능형 제조 솔루션 R&D를 점검하고 장기적인 소재 육성과 경쟁력 확보를 주문한 바 있다.
재계에서는 구 회장의 달라진 경영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 구 회장은 지난해 6월 취임 후 최대한 대외 활동을 자제해왔다. 구 회장은 그간 취임사와 신년사를 통해 ‘인재 영입’과 ‘신사업 발굴’ 등 그룹이 나아가야 할 큰 방향에 대해서는 본인의 생각을 뚜렷히 밝혔지만 계열사별 구체적인 사업에 대해서는 최대한 언급을 피해왔다. 29일 LG디스플레이가 중국 광저우에서 개최하는 OLED 공장 준공식도 고민 끝에 참석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계열사별로 최고경영자(CEO)들이 전문 경영인 체제를 구축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주 회장이 개별 사업장에 방문하는 것은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처럼 지난 1년간 신중한 행보를 보였던 구 회장이 소재·부품 개발과 관련해서는 달라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 최근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를 계기로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고병기기자 staytomorrow@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