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 안에 중국 카피캣이 나옵니다. 제품개발에 쏟은 시간과 노력이 물거품이 됐습니다.”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 최대 가전전시회 IFA 2019가 중국 업체들의 ‘한국 따라 하기’ 전시장이 됐다. 국내 업체들은 중국의 자국 기업 보호 앞에서는 특허도 무용지물이라고 토로했다.
IFA에 참가한 국내의 한 정보기술(IT) 기업 대표는 “핵심 기술력을 가진 제품을 출시했는데 반년도 안 돼 중국에서 더 저렴한 제품들이 나와 원조가 뒤로 밀리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중소기업 관계자도 “멕시코에 진출했지만 중국에서 금방 카피캣(모방) 제품이 나와 상황이 어려워졌다”며 “특허 침해 판결이 나오기까지 절차가 복잡하고 기간도 오래 걸려 사실상 막을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중국 업체들은 특허가 있는 기술도 로열티를 지불하지 않고 베껴 제품을 출시한다. 특히 중국 현지 법원에서 특허 침해를 인정하는 경우가 드물어 피해에 대응할 방법조차 없는 상황이다. 설사 법원의 특허 침해 판결이 난다 해도 해당 업체를 폐쇄하고 중국 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 제품을 생산한다. 한 IT 기업 대표는 “국내 기술을 모방해 중국에서만 팔아도 중국 업체들은 이익이 남는다”며 “기술 개발에 성공하면 미국·일본·유럽·인도에 이어 중국에서의 특허 출원을 고민하고 있지만 (모방을) 막기는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삼성전자(005930)·LG전자 역시 중국 업체의 모방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중국 업체들은 삼성전자가 지난 5월 말 고객들의 라이프스타일을 겨냥한 TV ‘더 세로’를 출시한 지 약 3개월 만에 이를 따라 한 제품을 선보였다. 창훙은 IFA 전시장 내에 ‘크리에이티브 라이프(Creative Life)’라는 공간을 별도로 마련해 삼성전자의 ‘더 세로’와 LG전자의 ‘오브제TV’를 반반씩 결합한 TV를 전시했다. 창훙의 TV는 ‘더 세로’처럼 가로에서 세로로 스크린을 움직일 수 있으며 ‘오브제TV’와 같이 뒷부분에 서랍장을 부착했다. 앞서 TCL도 더 세로를 모방한 제품을 내놓은 바 있다. 이밖에도 스카이워스와 콘카는 삼성전자 ‘더 프레임’과 유사한 ‘프레임TV’와 ‘월페이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를 전시하는 등 중국 업체들의 한국 베끼기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베를린=권경원·고병기기자 naher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