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중앙회가 66개 저축은행이 참여한 진일보한 통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SB톡톡 플러스’를 내놓았다. 지난 2016년 말 통합 모바일 앱인 ‘SB톡톡’을 선보인 지 2년 9개월 만에 ‘버전2’를 내놓은 것이다. 참여 저축은행은 비대면 금융플랫폼 강자로 떠오른 카카오뱅크와 젊은 고객 유치를 위해 정면 승부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9일 저축은행중앙회는 서울 공덕동 중앙회 본사에서 ‘저축은행 디지털뱅킹 오픈 기념식’을 열고 통합 모바일 앱인 ‘SB톡톡 플러스’를 공식 출범했다. 79개 저축은행 가운데 66개 저축은행의 계좌 개설이나 예·적금 및 대출상품의 금리 비교가 한눈에 가능하다. 대출 신청을 비롯해 저축은행 체크카드 발급 신청과 모바일메신저 카카오톡을 이용해 상대 계좌번호 없이 계좌이체를 할 수 있다. 지문인증이나 패턴·간편비밀번호·공인인증서 등 다양한 인증서비스를 탑재해 보안성도 높였다. 24시간 365일 콜센터를 운영해 사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든 앱과 관련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이용자 편의성도 대폭 강화됐다는 평가다.
박재식 저축은행중앙회장은 “핀테크나 인터넷전문은행 등 새로운 플레이어의 등장은 금융사 정보기술(IT) 서비스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며 “저축은행업계도 경쟁력을 높이고 고객의 금융 이용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해 차세대 디지털뱅킹 시스템을 오픈했다”고 밝혔다.
‘SB톡톡 플러스’는 저축은행이 젊은 고객층 확보를 위해 전면에 나섰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미 카카오뱅크 등 인터넷은행과 시중은행 모바일 앱이 블랙홀처럼 젊은 고객을 끌어들이는 상황에서 저축은행도 모바일 앱으로 승부하지 않으면 생존이 어렵다는 위기감이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SB톡톡 플러스 출시로 지방 저축은행의 영업채널도 확대돼 수익성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의 한 관계자는 “통합 앱 활성화로 국내 저축은행 고객이 1,000만명을 넘어서고 앱 거래량 역시 일 100만명을 돌파할 것”이라며 “저축은행이 신상품을 개발했을 때 바로 앱에 반영할 수 있는 환경도 갖춰 서비스 대응도 즉각 가능해졌다”고 강조했다. 다만 일부 일본계 대형 저축은행들이 통합 앱 참여에서 빠지면서 저축은행 통합 앱이 반쪽짜리에 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SBI저축은행과 OSB저축은행 등 일본계 대형사들은 자체 앱 개발을 이유로 통합 앱에 불참했다. 일본계 저축은행들은 자체 앱에 SB톡톡 플러스를 연계하는 형태로 참여할 계획이지만 시너지를 기대하기 어려워 SB톡톡 플러스가 카카오뱅크에 버금가는 금융플랫폼으로 성장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지윤기자 luc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