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 사태’를 둘러싼 파장이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다. 라임자산운용이 앞서 6,200억원 규모의 펀드에 대해 환매를 중단한 데 이어 다음주에 2,600억원 수준의 또 다른 펀드에 대해서도 추가 환매 중단 조치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또 라임운용의 ‘수익률 돌려막기’ 의혹과 관련해 금융당국이 증권사에 대한 조사까지 돌입했다.
11일 펀드 업계에 따르면 라임운용은 오는 14일 우리은행·신한금융투자 등에서 판매한 2,630억원 규모 해외 무역금융 펀드의 환매를 추가 중단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럴 경우 라임운용이 앞서 환매를 중단한 6,200억원 규모 펀드와 합치면 그 규모가 총 8,800억원 수준으로 커지는 셈이다.
이번 추가로 환매 중단을 검토 중인 무역금융 펀드는 만기가 지정된 폐쇄형 펀드다. 환매가 몰리면 투자 자산을 헐값에 처분해야 해 투자자의 피해가 더 커질 수 있어 우선 환매부터 중단해 급한 불부터 끄겠다는 것이 라임 측의 입장이다. 하지만 펀드의 유동성 문제가 계속될 경우 총 환매 중단 규모가 1조3,000억원에 이를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된다.
문제는 이번 라임 사태의 파장이 어디까지 이어질지 가늠하기 힘들다는 데 있다고 다수의 업계 관계자들은 지적한다. 라임운용의 상품 대부분은 ‘모자(母子)’ 형식으로 연결돼 있어 부실이 연쇄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가령 한 개의 모펀드에 수십개의 자펀드가 연결된 구조이기 때문에 한번 발생한 피해 규모는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라임운용 관계자는 “주식·채권·부동산 등의 자산과 연관된 상품에 대해서는 현재로선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라임은 지난 8일 사모채권을 주로 편입한 ‘플루토FI D-1호’와 코스닥 기업의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에 투자한 ‘테티스 2호’에 대한 환매를 중단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들 환매가 중단된 이들 펀드의 총 설정액은 약 6,200억원이다.
이번 라임 사태의 파장이 사모펀드 업계뿐 아니라 증권사로 확대될 조짐도 나타난다. 금융감독원이 라임운용의 ‘펀드 수익률 돌려막기’와 관련해 라임의 상품을 판매한 금융사들에 대한 전격 조사에 나서면서다. 실제 금감원 자산운용검사국은 10일부터 KB증권에 대한 검사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이번 검사를 통해 KB증권과 라임운용과의 총수익스와프(TRS) 거래를 들여다볼 것으로 알려졌다. KB증권은 라임운용과 TRS 계약을 맺고 라임운용을 대신해 전환사채(CB)를 매입하고 이를 장외업체에 넘기는 과정에서 ‘CB 파킹거래(다른 명의로 매수하는 편법 행위)’를 한 의혹을 받고 있다. 나아가 금감원은 라임 사태와 관련, 판매한 금융사 전체를 들여다볼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다른 증권사들의 긴장이 점점 고조되는 분위기다. 한편 라임이 투자한 회사의 경영진이 검찰 수사를 받는 잡음까지 새어 나오고 있다. 라임운용이 14.17%의 지분으로 최대주주로 있는 리드는 이날 전·현직 경영진의 횡령 혐의에 대한 영장 청구설에 관한 한국거래소의 조회공시 요구에 “현재 구속영장 청구 등 검찰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완기·양사록기자 kingear@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