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을 탄 사람의 주위로 개가 앞서거니 뒤서거니 옹위한다. 기마행렬에 이어 무용수가 춤을 추며 뒤따른다. 활 든 사람들의 화살촉은 멧돼지와 사슴을 향했다.
신라시대 적석목곽묘(돌무지덜넛무덤)인 경주 쪽샘 44호분에서 발굴된 토기에서 1,500년 전쯤 선으로 표현한 행렬도로 보이는 그림이 나왔다. 고구려 고분벽화의 수렵도, 행렬도 등은 알려졌어도 신라 토기에서 행렬이라는 주제로 기마·수렵·사냥 모습을 복합적으로 묘사한 것이 발견되기는 처음이다. 인물과 복식, 동물에 대한 표현이 구체적이고 회화성도 뛰어난 편에 속해 학계가 주목하고 있다. 신라와 고구려의 교류 양상을 보여주는 유물이라는 주장과 더불어 당대 신라의 국제적 문화 교류 양상을 고려해 사회상과 사후 관념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5세기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경주 황오동 쪽샘 44호분 발굴조사를 통해 무덤에 쌓는 호석(護石) 북쪽에서 신라 행렬도를 그린 장경호(긴목항아리) 조각들을 포함해 관련 유물 110여점을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지난 2014년부터 발굴 중인 쪽샘 44호분은 긴 축 30.8m, 짧은 축 23.1m의 타원형 고분으로, 국립경주박물관이 조사 중인 금령총과 맞먹는 크기다. 쪽샘은 샘물이 쪽빛처럼 맑아서 붙은 지명이다.
연구소 측은 “장경호 토기의 높이는 약 40㎝, 제작 시기는 5세기 중후반으로 짐작되며 일부러 깨뜨려 놓은 듯한 출토 정황상 무덤 제사용 토기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림은 상하 4단으로 나뉘었다. 위에서부터 1·2·4단에는 기하학 문양이 반복적으로 새겨졌고 3단에 기마행렬과 무용·수렵의 그림이 등장한다. 기마행렬에는 사람이 탄 말 한 마리와 사람이 없는 말 두 마리가 있으며, 말의 갈기를 묶어 뿔처럼 보이게 했다. 무용수의 의복은 치마·바지 등으로 다양하지만 신라 토우 중에 긴 두루마기가 치마처럼 보이는 남성도 존재하므로 복식으로 남녀를 구별할 수는 없다. 수렵 장면에서는 사냥하는 주인공이 동물보다 더 크게 표현됐고 주변을 개를 닮은 동물이 에워쌌다.
연구소 측 관계자는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개는 무덤을 지키는 수묘(守墓)의 동물”이라며 “무용과 수렵 등 그림 구성이 고구려 고분벽화와 유사해 신라와 고구려 관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라고 분석했다. /조상인기자 ccsi@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