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연구원은 21일 서울 여의도 한국금융투자협회 금융투자센터에서 열린 ‘국내 증권업 부동산PF 유동화시장의 추이와 위험 분석’ 세미나에서 “증권사들의 전체 PF 유동화증권에 위험점수를 측정한 결과 평균값이 2014년 0.254에서 2018년 0.301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위험점수는 부동산 용도(25%), 지역(30%), 시공사(35%), 채무보증(10%) 등 위험요인에 각각 가중치를 둬 유동화증권을 평가한 것으로 1에 가까울수록 위험도가 높다는 의미다.
위험요인이 높아지는 이유로는 증권업 부동산PF 유동화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시공사의 신용등급·도급순위가 하락했다는 점이 거론됐다. 장근혁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A-에서 A+ 사이의 신용등급을 보유하고 있는 시공사의 비중이 2017년 상반기 49.7%에서 지난해 하반기 32.2%로 줄었다”며 “같은 기간 무등급 비중은 25.7%에서 39.3%로 급등했다”고 설명했다.
다른 기관이 신용을 보강해준 증권업 부동산PF의 비중이 2014년 56.9%에서 지난해 35.2%로 감소한 것도 원인으로 지목됐다. 장 연구위원은 “매입보장의 비중이 낮아진 반면 매입확약은 늘어나면서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고 해석했다. 매입보장은 증권사가 유동화증권을 차환발행할 때 유동성만 제공해주는 채무보증 방식이며, 매입확약은 유동성 공여와 신용공여를 동시에 보장해주는 형태다.
이 가운데 대형사(자기자본 3조원 이상 증권사)와 중소형사 사이의 위험도 ‘양극화’가 뚜렷한 것으로 조사됐다. 장 연구위원은 “대형사 중에서는 위험점수가 0.15~0.2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다”며 “반면 0.5점 이상 물건에 대해서는 중소형사의 점유율이 높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증권사들의 부동산PF 시장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는 만큼 금융당국이 감독 강화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석훈 자본시장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증권사가 자신의 부동산PF 유동화증권 사업과 관련해 어떤 리스크 관리 목표를 갖고 있는지 사업보고서에 적시하도록 하는 등 공시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며 “아울러 부동산PF가 부외항목으로 들어가 있는데, 당국 차원에서 부외항목 위험을 포함한 레버리지 규제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심우일기자 vit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