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에 위치한 A저축은행의 지난해 실적은 지방 경기 침체의 직격탄을 맞았다. 지난 2016년과 2017년 줄곧 흑자를 기록하며 알짜 지방 저축은행으로 평가받았지만 지난해 실적은 마이너스로 고꾸라졌다. 내부적으로 올해도 흑자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분위기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 규제가 강화하면서 대출이 크게 줄어든데다 내년 예대율 적용까지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A저축은행 관계자는 “올해도 업황이 좋지 않았는데 내년에는 예대율까지 적용돼 영업 환경이 더욱 나빠졌다”고 토로했다.
# 강원도에 위치한 B저축은행은 수년째 실적 악화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2016년 4억원 순익을 낸 후 매년 1억원씩 적자를 보고 있다. 올 상반기 이미 1억원 적자가 났다. B저축은행의 한 관계자는 “내년 실적 개선은 기대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금융당국의 각종 규제로 개선 방안을 찾기 어렵다”고 말했다.
지방 경기 악화로 지방 저축은행 업황이 부진을 면치 못하는 가운데 강도 높은 대출 규제와 예대율 도입까지 겹치면서 저축은행의 내년도 경영 실적에 경고등이 켜졌다. 다른 업계보다 높은 예보료율까지 부담으로 작용하면서 저축은행 업계가 사면초가에 빠졌다는 분석이다. 특히 지방 영세 저축은행을 시작으로 도산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서민금융의 뿌리가 흔들리고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들은 내년도 실적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을 추진하고 있다. 올 상반기 DSR 등 가계대출 규제가 강화된데다 당장 내년부터 저축은행 업계에 예대율제도가 도입되면서 실적 개선이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기 때문이다. 대출잔액 1,000억원 이상인 저축은행 69개사는 내년부터 예대율 110%, 오는 2021년부터 100%의 예대율을 맞춰야 한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지방 경기 악화로 기업 대출이 크게 줄어든 가운데 가계대출 규제 강화로 대출 심사가 까다로워지면서 저축은행들이 대출을 늘리기가 더욱 어려워졌다”며 “여기에 예금과 대출 비중을 맞춰 영업해야 한다는 점에서 영세 저축은행들의 업황은 지금보다 더 나빠질 것”이라고 말했다.
은행보다 높은 예보료율도 중소·영세 저축은행들에 경영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경남에 위치한 C저축은행의 경우 예보료 납부로 지난해 실적이 흑자에서 적자로 반전됐다. 타 업계와 비슷한 재무건전성을 유지하고 있지만 타 업계보다 훨씬 높은 예보료율을 현실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저축은행에 적용되는 예보료율은 0.4%로, 은행보다 5배, 보험사보다 2.7배 높다. 저축은행 예보료율은 2011년 7월 0.4%로 정해진 후 변동이 없다.
저축은행에 겹친 각종 악재를 버티지 못하고 지방 영세 저축은행이 생사의 고비에 놓일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실제 일부 대형 저축은행을 제외하고 영세 저축은행들은 매각을 심각하게 고민할 정도로 업황이 매우 나쁜 상황”이라며 “서민금융의 최전방인 저축은행들에 대한 규제를 차등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지윤기자 luc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