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딸들이 개인의 노력으로 계층 상승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하는 부모들의 비율이 10년 만에 20%포인트나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문재인 정부가 소득 양극화 해소를 명분으로 현금복지를 쏟아붓고 있지만 정작 국민들 사이에서는 부의 대물림 현상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 ‘개천에서 용 나는 사회’에 대한 희망과 기대감이 꺾이고 있는 것이다. ★관련기사 3면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2019년 사회조사 결과’를 보면 자식 세대의 계층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답한 응답자는 28.9%에 불과했다. 지난 2009년 당시만 해도 절반에 가까운 48.3%가 ‘가능성이 높다’는 희망적인 답변을 내놓았으나 이 수치는 △2013년 39.6% △2015년 30.0% △2017년 29.5% 등으로 하락세를 이어왔다. 반면 올해 조사에서 자식 세대의 계층 상승 가능성이 ‘낮다’고 답한 응답자는 55.5%에 달했다.
또 본인에 대한 ‘계층 의식’이 낮을수록 자식의 계층 상승 가능성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나타났다. 스스로 ‘상층’이라고 인식하는 응답자 중에서는 48.5%가 자식의 계층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답했다. 반면 본인이 ‘하층’이라고 말한 응답자 가운데서는 21.5%만이 자식 세대의 계층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명문대 입학생들의 소득분포가 갈수록 상위 계층에 쏠리는 현상이 심화하면서 ‘교육 사다리를 통한 계층 이동’을 비관하는 부모들이 늘고 있는 셈이다. 김원섭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출발선’이 다른 것은 불가피한 일”이라면서도 “교육과 취업 시장에서 공공 부문의 역할을 강화해 기회의 평등을 실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각자 속한 가구의 내년 재정상태에 대해서는 22.2%가 ‘나빠질 것’이라고 답했다. 이는 2017년 조사 때보다 2.8%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반면 가구의 재정상태가 ‘좋아질 것’이라고 예측한 응답자는 2017년 26.5%에서 올해 23.4%로 3.1%포인트 줄었다. 통계청은 각종 사회지표와 관련해 격년 주기로 조사를 벌이며 올해 조사는 5월15~30일 만 13세 이상의 가구원 약 3만7,0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세종=나윤석기자 nagij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