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005930)가 업계 최초로 자발광 ‘퀀텀닷(Quantum Dot)’ 소재 디스플레이의 상용화 가능성을 입증했다.
중국 업체들이 저가 액정표시장치(LCD) 물량 공세를 펼치는 상황에서 신소재 디스플레이를 통한 기술 격차 확대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는 27일(현지시간) 퀀텀닷 소재 구조를 개선해 자발광 QLED 소자의 발광 효율 21.4% 달성 및 소자 구동 100만 시간을 구현한 연구 결과를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에 게재했다고 28일 밝혔다.
자발광 QLED는 순수하고 선명한 빛을 표현할 수 있으며 무기물이라는 장점을 활용해 전류 구동 시 유기물 대비 효율과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스스로 빛과 색을 내기 때문에 백라이트와 컬러필터가 필요 없어 얇고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만들 수 있다. 장은주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펠로우 는 “삼성의 독자적인 핵심 소재 기술로 차세대 디스플레이 상용화 가능성을 보여줬다”며 “앞으로 새로운 구조의 퀀텀닷을 활용한 친환경 디스플레이의 개발 범위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 자발광 QLED 소자의 발광 효율과 사용 시간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증명했다. 빛 손실 개선을 위해 퀀텀닷 입자의 발광 부분인 코어의 표면 산화를 억제하고 코어 주위를 둘러싼 셸을 대칭 구조로 균일하게 키움과 동시에 두께를 증가시키면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 퀀텀닷 입자가 서로 뭉치는 현상을 막아주는 ‘리간드’를 보다 짧게 만들어 전류 주입 속도를 개선했다. 제1저자인 원유호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전문연구원 은 “이번 연구는 퀀텀닷 소재가 만들어지는 메커니즘을 이해해 셸 두께에 상관없이 고효율의 퀀텀닷을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소자에서 퀀텀닷 사이의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고 전하 균형을 조절해 QLED의 효율과 수명 개선의 방법을 제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5년 업계에서 처음으로 카드뮴이 없는 ‘Cd-프리’ 퀀텀닷 TV 제품을 출시했으며 새로운 구조의 퀀텀닷 자발광 QLED 소재와 소자 구조 특허 170여건을 확보했다.
/양철민기자 chopi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